2017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 23번 해설 (나책형)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17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 나책형 23번 문제다.

    어김없이 등장하는 선거 소재. 그래도 자료해석에 나온 것이니 같은 표, 같은 그래프일 뿐이다. <그림>이 지방의회 의석수라는 데 유의하자.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17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 23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2번>

    ㄱ, ㄹ

     

    ㄱ. 정당 D의 전국 지방의회 의석점유율은 2014년이 2010년보다 높다. (O)

    <표>에서 확인할 수 있다. D의 전국 지방의회 의석 수는 1.5배가량 늘었는데, 전체 의석수는 그에 한참 못 미치는 증가율을 보인다. 점유율이 높아졌을 것이다.

     

    ㄴ. 2010년에 비해 2014년 모든 정당의 전국 지방의회 의석수는 증가하였다. (X)

    C정당은 줄었다.

     

    ㄷ. 2014년 비수도권 지방의회 의석수는 정당 B가 정당 A보다 많다. (X)

    <표>의 의석수에서 <그림>의 의석수를 빼면 비수도권 지방의회 의석수가 나온다. 2014년 정당 A는 252-63=189석, 정당 B는 318-166=152석이다.

     

    ㄹ. 정당 B의 수도권 지방의회 의석점유율은 2014년이 2010년보다 낮다. (O)

    <그림>에서 각 정당의 의석수가 2014년에 2010년 대비 얼마나 증감했는지 따져보자. A가 +26, B는 +7, C는 -7, D는 +3이다. 증감폭을 합하면 +29다. 전체가 29 늘 동안 B는 7 늘어난 셈이다. 7/29가 기존 B의 의석점유율보다 큰지 작은지만 확인하면 된다. 2010년에 B는 다른 정당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의석을 갖고 있었으니 7/29보다야 점유율이 높았을 것이다. 그럼 2014년의 점유율이 더 낮아졌겠지.

     

    주관적 체감 난이도

    ★★☆☆☆

    전국/수도권/비수도권 구분을 잘해줘야 한다.

    댓글

    밤도리 프리미엄콘텐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