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혁신처가 2027년부터 지방직 7급 공채에 PSAT을 도입한다는 등 시험제도 개편안을 내놨습니다. 2027년 지방직 7급 PSAT 도입, 시험제도 개편오늘(18일) 인사혁신처가 2027년 지방직 7급 PSAT 등 시험제도 개편안을 공표했습니다. 주요 내용을 요약해드립니다. 1. 현재 국가직 7급 공채, 민경채 등에서 활용 중인 '7급 PSAT'을 2027년부터 지방직contents.premium.naver.com
2024년 5급 PSAT 정답률 (23년 대비 비교) 2024년 5급 PSAT 영역·문항별 정답률이다. 한림법학원의 합격예측서비스에 공개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한다. 2024년 데이터는 3월 5일 정오 기준이다.
본 글의 점수는 모두 일반전형 기준입니다. 모든 데이터는 직접 정보공개청구한 결과를 근거로 합니다. 2023년 7급 PSAT 직렬별·영역별 평균점수 응시자 평균(일반전형 기준) 구분 평균 언어논리 자료해석 상황판단 전체 71.85 71.31 65.36 78.85 행정직군 71.77 71.45 65.15 78.66 기술직군 72.30 70.52 66.50 79.87 일반행정직 74.06 74.52 67.04 80.57 통계직 78.59 76.61 74.06 85.07 세무직 71.04 69.30 64.90 78.90 검찰직 67.93 67.92 60.49 75.30 감사직 73.17 71.66 67.60 80.20 선거행정직 70.33 70.37 63.09 77.51 고용노동직 68.77 68.62 61...
2023년 5급 PSAT 성적 통계가 나왔다. 예상대로 컷이 폭등했다. 이런 문장을 작년에도 썼던 것 같은데 아주 난리판이구나. 일행과 재경, 외교 모두 전년대비 +16.6점(20문)이다. 전체(행정, 기술, 외교) 통합 전체적으로 15점 안팎 상승한 느낌이다. 지난해 전체 누적 5% 라인이 75였는데 올해는 90점이면 5% 라인이다. 지난해 90점 이상은 1명뿐이었으나 올해는 무려 500명(여러 이유로 과락으로 집계된 사람 중에서도 있을 법하니 그보다 조금 더). 과락률도 지난해 전체 39.2%에서 13%p 감소했다. 지난해에는 면평락이면 상위 40% 안에 들 수 있었으나 올해 면평락은 하위 30%까지 밀려내려간다. 이번에 다수가 기대했던 합격선이 일재 83, 85였던 것 같은데 그것보다 합격선이 1문..
2022년 7급 PSAT 합격자 발표 직후 어김없이 응시자평균, 합격자평균에 관한 정보공개청구를 했고, 지난 15일 통지를 받았다. 바빠서 이제야 포스팅을 한다. 올해 7급 PSAT 난이도가 대폭 하락한 만큼 응시자평균이든 합격자평균이든 전년에 비해 크게 올랐다. 응시자평균: 해당 직군·직렬 응시자 평균점수 (과락 포함, 가산점 제외) 합격자평균: 해당 직군·직렬 1차 합격자 평균점수 (가산점 제외) 2022년 7급 PSAT 응시자 평균점수 행정직군(일반행정, 통계, 세무, 검찰, 외무영사) 구분 평균 언어논리 자료해석 상황판단 행정직군 62.3 62.7 63.5 60.9 일반행정 65.1 65.2 66.3 63.8 통계 69.5 67.2 72.4 68.9 세무 60.5 59.9 61.6 59.9 검찰 ..
2022년에는 7급 PSAT 합격자 발표일에 통계가 함께 공개되었다. 그래 이렇게 빨리 올려 주면 을마나 좋으냐. 일반전형 기준 직렬별 성적분포를 어김없이 쪄 왔다. 전체 통계는 위와 같다. 난이도 급락의 영향으로 2021년 7급 PSAT에서 35.5%였던 과락률이 2022년에는 18.2%로 절반가량 감소했다. 작년 80점은 전체 상위 2.2%에 해당하지만 올해 80점은 상위 8.5%에 그친다. 이하 직렬별 통계표는 그냥 보시면 될 듯하다. 합격선이 끼어 있는 구간에 배경색을 칠해 상위 몇 퍼센트 수준에서 컷이 나왔는지 직관적으로 볼 수 있도록 했다. 차례를 이용하면 원하는 직렬로 바로 이동 가능. 일반행정 우정 인사조직 재경 고용노동 교육행정 회계 선거행정 세무 관세 통계 감사 교정 보호 검찰 출입국관..
2022년 국가직 7급 공무원 공채 지원현황이 공개되었다. 지원자수 가지고 7급 공무원 인기가 시들해졌네 경쟁률이 떡락했네 말들이 많은데, 전자는 비단 7급만의 문제는 아닐 것이고 후자는 좀 설레발이다. 어차피 경쟁률은 직렬별로 나눠야 의미가 있고, 직렬별 경쟁률을 실질적으로 결정하는 건 직렬별 지원자수가 아니라 응시자수(곧 응시율), 그리고 직렬별 TO다. 여기는 PSAT만 다루는 블로그니까 지난해 데이터를 기반으로 올해 7급 PSAT에 합격하기 위해 직렬마다 상위 몇 %에 들어야 하는지 따져보았다. 본론은 길게 쓸 게 없으니 미리 유의사항을 적어 두자면, 1) 2022년의 실데이터는 직렬별 TO와 지원인원밖에 없다. 2) 2021년의 직렬별 1차 응시율을 2022년의 직렬별 지원인원에 곱해 2022년..
2022년 7급 PSAT의 시험시간이 변경되었다. 원서접수까지 4일, 시험일까지 64일을 남겨두고 단 두 쪽짜리 공지문으로 뜬금없이. 그중 한 쪽은 시험시간 얘기가 아니니 사실상 한 쪽짜리다. 아니다. 그중 또 반 쪽은 2차 시험 시간표니까 반 쪽짜리 공지네. 요는 "장시간 시험으로 인한 수험생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7급 PSAT 시간표를 기존 3교시에서 2교시로 줄이고, 1교시에 언어논리와 상황판단을 함께 치르겠다는 것이다. 나는 이 공지의 조회수가 50도 되지 않을 때(오전 9시 반쯤이었다) 내용을 접했는데, "얘네 미쳤나?" 하기까지 긴 시간이 필요치 않았다. 제목에도 적고 썸네일에도 적어 놨지만 인사혁신처가 정신 나갔나 싶었다. 7급 PSAT, 언어+상판 합쳐 50문항 120분으로 우선 변경 내..
2021년 7급 PSAT 응시자 평균 및 1차합격자 평균을 정보공개청구해 받아 왔다. 이번엔 저번보다 살짝(한 5시간쯤,,,) 빨리 보내주더라. 행정직군에서는 ▲일반행정 ▲통계 ▲세무 ▲검찰 ▲외무영사, 기술직군에서는 ▲일반기계 ▲전기 ▲화공 직렬의 응시자 및 1차합격자 평균을 정보공개청구했다. 응시자 평균에는 당연히 과락자가 포함되어 있다. 2021년 7급 PSAT 응시자 평균점수 행정직군(일반행정, 통계, 세무, 검찰, 외무영사) 구분 평균 언어논리 자료해석 상황판단 행정직군 52.6 54.0 52.6 53.0 일반행정 55.0 56.8 54.7 55.2 통계 60.8 60.8 61.8 60.9 세무 51.3 51.0 52.3 52.2 검찰 48.2 50.9 47.7 50.0 외무영사 50.3 51...
2022년 5급 PSAT 합격자 발표가 날 때쯤 응시자 평균점수와 최고점수 정보공개청구를 했다. 오늘 저녁에 (역시 금요일 퇴근 직전에 보내주는 건 국룰인가) 답변이 와서 내용을 공유한다. 과락, 평락 등을 포함한 '전체 응시자'를 기준으로 한 청구 결과다. 2022년 5급 PSAT 영역별 응시자 평균점수 행정직군 일반행정직 재경직 기술직군 외교 언어논리 53.76 53.61 59.28 50.14 52.78 자료해석 57.92 57.15 64.52 57.34 55.79 상황판단 57.64 57.08 63.48 56.29 54.39 나한테 과년도 데이터가 없어서 이게 기존에 비해 얼마나 조진 평균점수인지 정확히 비교할 방법이 없다. 그러나 절대적인 수치만 봐도 영역별 평균점수가 50점대인 건 좀 문제가 있..
2022년 5급 PSAT 통계가 나왔다. 예상대로 컷은 폭락했다. 일행은 전년대비 -7.5점(9문), 재경은 전년대비 -5.8점(7문), 외교는 전년대비 -5점(6문). 상하위권 가릴 것 없이 폭망(?)한 시험이라 성적분포가 매우 궁금했었는데 역시… 터져나간 듯. 전체(행정, 기술, 외교) 통합 행정, 기술, 외교 통합 성적분포다. 과락률이 전년대비 2.6%p 올랐다. 95점 이상은 없다(작년에도 없었다). 여기까지는 뭐 그럴 수 있다. 그러나 그 아래 구간부터는 정말 '폭락'이다. '90 이상 95 미만' 득점자는 작년에 15명이었는데 올해는 1명뿐이다. 전기직 응시자로, 행정직군에는 90점대 득점자가 없다. '85 이상 90 미만' 득점자는 작년에 136명이었는데 올해는 24명뿐이다. 작년에 이 구간..
2022년 5급 PSAT 영역·문항별 정답률이다. 메가피셋 합격예측 풀서비스 자료를 기반으로 정리했으며, 표본은 3,113명이다. 영역별로 정답률 상위 5개 문항은 녹색으로, 하위 5개 문항은 적색으로 표기하였다. 언어논리 정답률 문항번호 정답률 문항번호 정답률 1 87% 21 72% 2 74% 22 58% 3 74% 23 80% 4 83% 24 61% 5 89% 25 66% 6 55% 26 66% 7 71% 27 51% 8 61% 28 58% 9 70% 29 51% 10 63% 30 48% 11 34% 31 36% 12 41% 32 76% 13 57% 33 31% 14 32% 34 58% 15 66% 35 61% 16 72% 36 47% 17 62% 37 66% 18 69% 38 37% 19 67% 3..
2022년 국가직 5급 공무원(행정, 외교) 채용인원 2022년 국가직 5급 공무원 행정직군과 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 채용인원이다. 2022년 국가직 5급 공무원 행정직군 채용인원에서 특기할 만한 변동사항은 다음과 같다. -일반행정직이 2021년 전국 119, 지역 21명 선발에서 2022년 전국 115명, 지역 20명으로 감소. -재경직이 2021년 65명 선발에서 2022년 68명 선발로 3명 증가. -법무행정, 국제통상, 사회복지 등 소수직렬 선발인원 증가. -출입국관리직 2021년 2명 선발에서 2022년 1명 선발로 감소. 2022년 국가직 5급 공무원(기술) 채용인원 2022년 국가직 5급 공무원 기술직군 채용인원이다. 2022년 국가직 5급 공무원 기술직군 채용인원에서 특기할 만한 변동사항은 ..
2021년 국가직 5급(행시, 기시, 외교관후보자) PSAT 점수 구간별 분포와 과락률이다. 2021년 국가직 5급 PSAT 행정직군 성적분포·과락률 2021년 국가직 5급 PSAT 기술직군 성적분포·과락률 2021년 국가직 5급 PSAT 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 성적분포·과락률
2021년 국가직 7급 PSAT 합격자 통계 파일이 새로 업데이트되었다. 합격자 발표일과 일주일 텀을 두고 올린 듯. 점수 구간별 성적 분포와 과락률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전체 통합 데이터부터. 전체 통계를 보면 인혁처가 이번 7급 PSAT 합격자 수준을 '상위 20%'에서 컷하기 위해 배수를 조정했다고 볼 수 있다. 65~70점 구간이 딱 상위 20%다. 전체 통합 상위 n%컷 평균점수 기준, 편의상 일부 반올림 (괄호 안은 과락 제외) 96점: 0.004% (0.006%) 90.66점: 0.1% (0.14%) 85.33점: 0.5% (0.8%) 80점: 2% (3.5%) 76점: 5% (8%) 70.66점: 11% (17%) 65.33점: 20% (31%) 이하 생략 직렬별 통계는 밑에서. 텍스트..
2021년 국가직 7급 PSAT 합격자발표가 지난 17일 있었다. 합격자 통계는 공식적으로는 18일 나왔다. 대부분의 업체가 10배수 선발을 기준으로 합격 여부와 합격선을 예측했으나 실제로는 7배수 가까이 끊으면서 꽤 많은 수험생이 피눈물을 흘린 것 같다. 각설하고 통계나 보자. ※ 본문 통계는 일반 전형 기준이며, 장애 전형 통계는 글 하단의 원본 자료를 참조. 2021년 국가직 7급 PSAT 행정직군 합격선·선발배수 2021년 국가직 7급 PSAT, 행정직군에서는 평균적으로 7.45배수를 선발했다. 선발배수가 가장 높은 직렬은 인사조직(8.33배수)으로 선발예정인원 3명에 25명을 1차합격시켰다. 응시인원이 가장 많은 일반행정직에서는 7.38배수를 뽑았다. 배수가 가장 낮은 회계직도 정확히 7배수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