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 9번 해설 (5책형)
- 민경채 PSAT 기출문제 해설/자료해석
- 2021. 12. 10.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16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 5책형 9번 문제다.
주석이 뚱뚱하다(…). 해석 제대로 하고 풀자.
▶ 2016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 풀이문제지 원본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16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 9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4번>
A 그리스, B 미국, C 영국, D 스위스
<그림 2>의 값을 <그림 1>에서 빼면 청년층 정부신뢰율이 나온다(주석3). 해설 이미지처럼 적어놓는 게 편할 듯하다. <그림 2>가 양수라는 건 전체국민 정부신뢰율이 청년층보다 높다는 것이고, 음수라면 청년층 정부신뢰율이 더 높은 것이다.
○ 청년층 정부신뢰율은 스위스가 그리스의 10배 이상이다.
10배 차이 나는 건 A와 D뿐이다. 스위스와 그리스는 A, D에 들어간다. 5번 소거.
○ 영국과 미국에서는 청년층 정부신뢰율이 전체국민 정부신뢰율보다 높다.
이미 얘네가 BC라는 건 조건1에서 봤다. 굳이 따지자면 B, C가 <그림 2>에서 마이너스이므로 청년층 정부신뢰율이 더 높은 것이다.
○ 청년층 정부신뢰율은 미국이 스위스보다 30 %p 이상 낮다.
A는 넷 중 청년층 정부신뢰율이 가장 낮으므로 스위스는 D다. B, C 중 D와 30%p 이상 차이 나는 B가 미국이다. B미국+D스위스 조합은 4번뿐이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복잡해보이는 주석일수록 요리(?)하기 쉬운 경우가 많다. 껄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