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5급 PSAT 자료해석 16번~17번 해설 (가책형)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1년 5급 PSAT 자료해석 가책형 16번~17번 문제다.

    16번 17번 두 문제 푸는 데만 7분 가까이 썼다(실전이었으면 이건 미친 짓이다). 설명과 표도 매우 길고 복잡하며, 문제도 상당히 까다롭다. 특히 16번. 아마 풀어본 사람들은 알 거야….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21년 5급 PSAT 자료해석 16번~17번 해설·풀이과정

    <16번 정답: 5번>

    ㄴ, ㄹ

     

    아이디어형 함정이라 해설로 보면 '이게 그렇게 어려운가?' 싶을 수 있다. 정말 어려웠다. 차라리 계산 시키는 게 낫지.

     

    ㄱ. 남부지역 4개 도의 군당 거주 여성인구 수 (X)

    보기 제목과 <표>, <설명>을 세심히 살피지 않았다면 무심코 동그라미 칠 수 있는 선지다. 그래프 속 수치들은 <표>에서 여성인구를 군 수로 단순히 나눠 놓은 값이다. 이게 참 골치아픈 게, 수치 자체는 정확하다. 문제는 '여성인구/군'으로 계산하면 안 된다는 것이다. <표>에서 각 도의 여성인구는 '군'에만 거주하는 인구가 아니라, 도내 전체 여성인구를 의미한다. 도는 시와 군을 하위 행정구역으로 두고 있으므로 <표>의 인구는 시 인구+군 인구로 구성될 것이다. 이 그래프는 도내 전체 여성인구(시 여성인구+군 여성인구)를 군 수로만 나눈 것이므로 옳지 않다.

     

    ㄴ. 도와 특별자치도의 세대당 면적 (O)

    <표>에서 면적/세대수 계산하면 대강 들어맞는다. 다만 면적의 자릿수가 세대수보다 작아서 '읭?' 할 수 있다. 단위를 눈여겨보자. <표>의 면적 단위는 제곱킬로미터이고, 보기의 면적 단위는 제곱미터다. 1제곱킬로미터는 백만 제곱미터이므로 그래프의 수치가 나올 수 있다.

     

    ㄷ. 서울특별시 공무원수 대비 6대 광역시 공무원수의 비율 (X)

    당장 부산부터 맞지 않는다. 서울의 공무원수는 34,881명, 부산의 공무원수는 11,591명이다. 35×3을 해도 105이기 때문에 서울 대비 부산 공무원수 비율은 최소한 30%가 되어야 한다. 그래프에 23.2%로 되어 있으니 틀린 선지.

     

    ㄹ. 전국 기초지방자치단체 구성 비율 (O)

    '기초지방자치단체'라는 단어가 중요하다. <설명>을 보면 특별자치도의 '시'는 기초지방자치단체에서 제외되며, 도의 '구' 역시 제외된다. 따라서 전국 기초지방자치단체로서의 시는 75개, 군은 82개, 구는 69개로 정리된다. 이제 구성비를 어떻게 구할 것이냐 하는 문제가 남아 있다. 단순히 다 더한 뒤 정직하게 계산해도 되지만 나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직감(?)했다.

     

    '시'의 구성비가 33.2%로 제시되었다. 이는 전체를 3등분한 것과 거의 비슷하다. 따라서 전체 기초지방자치단체 개수는 225개쯤 될 건데, 군은 시보다 7개 많고 구는 6개 적으니 대충 맞다고 볼 수 있다. 또 시의 구성비로부터 군과 구의 구성비까지의 거리(%p)는 각각 3.1%p, 2.7%p인데, 3.1%가 7개이고 33.2%가 75개라면 큰 오류는 없어 보인다. 3.1%=7과 2.7%=6 역시 비례 관계가 성립한다. 이게 정말 직감으로 푼 거라 최대한 글로 옮겨보긴 했는데 잘 설명은 안 되는 것 같다….

    <17번 정답: 3번>

    시 76, 군 85, 구 102

     

    풀 때는 왜 그랬는지 모르겠는데 '구'부터 구했다. 다시 보니 선지 가짓수가 가장 많은 '군'을 먼저 확정하는 게 유리할 것 같다.

     

    2012년 6월 30일을 기준으로 한 군 수를 구해야 하므로, 2012년 1월 1일의 사건은 무시하고 아래만 본다.

     

    2012년 7월 1일 연기군 폐지, 2013년 9월 23일 여주군→시 승격, 2014년 7월 1일 청원군→청주시 통합으로 3개의 군이 사라졌다. 군 3개가 사라지고 나서 2019년 말일 현재의 군 수가 82개이므로, 2012년 6월 30일의 군 수는 85개일 것이다. 군 수를 구하면 답은 바로 나온다.

     

    시는 2013년 9월 23일 여주시 승격으로 1개가 늘어나 현재 77개이므로 2012년 6월 30일에는 76개였을 것이다. 구는 2014년 2개 설치, 2016년 3개 폐지로 1개가 줄어 현재 101개이므로 2012년 6월 30일에는 102개였을 것이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이걸 별 5개 안 줄 수가 있나? 16번은 특히… 이런 유형에서 수치만 주로 보던 습관을 반성하게 만드는 역대급 함정이 나왔다. 이게 다 풀고 돌아보면 참 쉽게 보이는데 막상 풀 때는 1도 안 보인다.

    댓글

    밤도리 프리미엄콘텐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