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5급 PSAT 자료해석 29번 해설 (나책형)
- 5급 PSAT 기출문제 해설/자료해석
- 2022. 4. 6.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2년 5급 PSAT 자료해석 나책형 29번 문제다.
다 풀고 매우 허무했던 문제다. 겉보기에는 상당히 귀찮아 보이는데 마지막 조건이 할 일을 확 줄여 버린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22년 5급 PSAT 자료해석 29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1번>
A
이미지에는 그냥 순서대로 다 써놨는데, 사실 경과연수별잔가율부터 보면 A와 C만 비교해서 끝난다는 걸 알게 된다. B, D, E 모두 경과연수별잔가율이 0.1이기 때문이다. 반면 A와 C는 0.8이다. 구조지수나 용도지수, 건물면적에서 이 8배 차이를 엎을 만큼 큰 차이가 있는 게 아니라서 B, D, E는 일단 날아간다. 만약 구조지수, 용도지수부터 순서대로 해왔더라도 경과연수별잔가율을 체크하는 순간 날아갈 것이다.
A와 C는 구조지수와 경과연수별잔가율이 같으니 용도지수와 건물면적만 비교하면 된다. 용도지수는 A가 1.1, C가 1.25로 근소한 차이다. 반면 건물면적은 C가 A의 3배다. 따라서 C의 기준시가가 A보다 높고, 기준시가가 두 번째로 높은 건물은 A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그냥 시키는 대로 쭉쭉 따라가면 허무하게 끝나는 문제인데… 정답률이 왜 이런지 잘 모르겠다. 내가 뭘 잘못 보고 있나?
정답률: 34% (메가피셋 합격예측 풀서비스 기준)
해설강의
2022년 5급 PSAT 자료해석 후반부 해설강의
밤프콘 자료해석 Live 스터디그룹 2022년 5급 자료해석 나책형 21번~40번 Live 강의영상입니다.
contents.premium.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