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5급 PSAT 자료해석 37번 해설 (나책형)
- 5급 PSAT 기출문제 해설/자료해석
- 2022. 4. 11.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2년 5급 PSAT 자료해석 나책형 37번 문제다.
머리 핑핑 돌 때 이런 거 시키면 터지기 마련이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22년 5급 PSAT 자료해석 37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2번>
ㄱ, ㄷ
ㄱ. 기능점수는 B가 가장 높고 C가 가장 낮다. (O)
<표 1>과 <표 2>를 세로로 곱해서 노가다를 하자. 이때 외부연계파일과 외부출력은 가중치가 같으므로 합쳐서 곱하면 편하다. A는 177, B는 193, C는 92가 나온다.
ㄴ. 기준원가가 가장 낮은 소프트웨어와 개발비가 가장 적은 소프트웨어는 동일하다. (X)
대소비교만 하면 되니 식에 공통으로 들어가는 ‘×50만 원’은 무시하고, 기능점수를 기준원가라고 생각하자. 기준원가가 가장 낮은 소프트웨어는 C다. 개발비를 비교하려면 각각의 보정계수를 구해야 한다. 보정계수는 A가 0.64, B가 3.6, C가 1.92다. 기능점수에 이 보정계수를 곱하고 다시 이윤을 갖다 넣으면 개발비가 나올 텐데… C의 개발비가 가장 적은지만 체크하면 되잖아? A의 개발원가 177×0.64는 C의 개발원가 92×1.92보다 작다. A와 C는 이윤이 서로 같으니 개발원가의 대소관계가 곧 개발비의 대소관계와 같다. 따라서 개발비가 가장 적은 소프트웨어는 C가 아니다.
ㄷ. 개발원가와 기준원가의 차이는 B가 C의 5배 이상이다. (O)
기준원가(여기서는 기능점수)에 보정계수를 곱한 게 개발원가이므로, 보정계수에서 1을 빼서 기준원가에 곱하면 개발원가와 기준원가의 차이가 나온다. B는 193×2.6, C는 92×0.92다. 전자는 500쯤 되지만(200×2.5쯤이라고 보자) 후자는 당연히 92보다 작다. 5배 차이 넘는다.
ㄹ. 기능점수가 가장 높은 소프트웨어가 생산성지수도 가장 크다. (X)
기능점수가 가장 높은 소프트웨어는 B다. 생산성지수는 기능점수를 공수로 나눈 값인데, B의 공수가 30으로 가장, A나 C보다 훨씬 크다. 생산성지수는 A나 C에 모두 밀린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ㄴ, ㄷ 볼 때 뇌정지 와서 계산을 못했던 것 같다. 차라리 안 풀었어야 하는데 괜히 곤조가 발동해서리.
정답률: 33% (메가피셋 합격예측 풀서비스 기준)
해설강의
2022년 5급 PSAT 자료해석 후반부 해설강의
밤프콘 자료해석 Live 스터디그룹 2022년 5급 자료해석 나책형 21번~40번 Live 강의영상입니다.
contents.premium.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