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5급 PSAT 자료해석 12번 해설 (A책형)
- 5급 PSAT 기출문제 해설/자료해석
- 2022. 4. 19.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14년 5급 PSAT 자료해석 A책형 12번 문제다.
숫자가 많아 보이지만 구조는 간단하다. 침착히 보자.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14년 5급 PSAT 자료해석 12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4번>
ㄱ, ㄴ, ㄷ
ㄱ. 소작쟁의 발생 건당 참여인원이 가장 적은 해는 1936년이다. (X)
1936년의 발생건수는 총 3만여 건, 참여인원은 7.2만여 명이다. 발생건당 참여인원은 2.4쯤 된다. 그러나 바로 왼쪽 1935년을 보면 발생건수 2.5만여 건에 참여인원 5.9만여 명으로 참여인원이 발생건수의 2.4배가 안된다. 1935년의 발생건당 참여인원이 더 적다.
ㄴ. 1932년 이후 소작쟁의 발생건수가 매년 증가한 지역은 5곳이다. (X)
경상도, 충청도, 평안도, 함경도 4곳에서 매년 증가했다.
ㄷ. 전체 소작쟁의 참여인원 중 지주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년 증가하였다. (X)
1931년에는 10%를 조금 넘지만 1932년에는 10% 밑으로 떨어졌다.
ㄹ. 1930년에 비해 1936년에 전국 소작쟁의 발생건수에서 지역별 소작쟁의 발생건수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한 지역은 5곳이다. (O)
1930년 대비 1936년 전국 소작쟁의 발생건수가 대충 40배쯤 증가했다. 이보다 더 큰 배수로 증가한 지역은 비중이 늘었을 것이다. 강원도, 충청도, 평안도, 함경도, 황해도 5곳이 이에 해당한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간단한 문제다. 계산할 여지도 얼마 없고.
해설강의
2014년 5급 PSAT 자료해석 전반부 해설강의
밤프콘 자료해석 Live 스터디그룹 2014년 5급 자료해석 A책형 1번~20번 Live 강의영상입니다.
contents.premium.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