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5급 PSAT 자료해석 40번 해설 (A책형)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14년 5급 PSAT 자료해석 A책형 40번 문제다.

    딱 보면 이게 대체 뭔가 싶을 수 있다. 규칙을 차분히 해석해보자.

     

    ▶ 2014년 5급 PSAT 자료해석 풀이문제지 원본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14년 5급 PSAT 자료해석 40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3번>

     

    발문에서 물어본 건 ‘단풍 절정기 시작날짜가 가장 늦은 산’이다. 잊지 말자.

     

    ○특정 고도의 일 최저기온이 최초로 5°C 이하로 내려가면 해당 고도에서 단풍이 들기 시작한다.

    그렇다고 한다. 우린 특정 고도가 뭔지 모르니 일단 넘어가자.

     

    ○각 산의 단풍 절정기 시작날짜는 해당 산의 고도 H(=0.8S+0.2T)에서 단풍이 들기 시작하는 날짜이다.

    발문에서 물어본 게 여기 있다. ‘단풍 절정기 시작날짜’는 고도 H를 기준으로 삼는다. H는 0.8S+0.2T인데, 이는 S:T를 4:1로 가중평균해 나온 값과 같다. <표 2>의 S에 (T-S)×0.2를 더하면 H가 나올 것이다. 이에 따라 가~마의 H를 구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되는데, 조건3 활용을 위해 S에 얼마나 더해지는지만 정리하자.

    가: +220

    나: +200

    다: +140

    라: +120

    마: +300

     

    ○고도가 10m 높아질 때마다 기온이 0.07°C씩 하강한다.

    앞서 고도 H는 고도 S에 얼마간을 더해 나오는 값이었다. 시작고도에서 고도가 높아지는 상황이니 이 조건을 적용하면 H의 기온이 S보다 얼마나 낮은지 알 수 있다. 가~마의 S 대비 H의 기온 하강폭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 1.54도

    나: 1.4도

    다: 0.98도

    라: 0.84도

    마: 2.1도

     

    조건1에서 특정 고도의 일 최저기온이 최초로 5도 이하로 내려가면 단풍이 들기 시작한다고 했고, <표 1>의 최저기온은 시작고도(S)의 것이므로 위의 하강폭에 5를 더한 값을 <표 1>에서 찾으면 된다. 예컨대 ‘가’ 산의 <표 1>에서의 최저기온이 10도라면 ‘가’ 산의 고도 H에서의 최저기온은 1.54도를 뺀 8.46도일 것이다. 우리는 최저기온이 최초로 5도 이하로 내려가는 날을 찾으려는 것이니, ‘가’에서는 최초로 6.54도 이하로 내려가는 날을, ‘나’에서는 최초로 6.4도 이하로 내려가는 날을… 찾으면 된다.

     

    ‘가’는 10월 18일, ‘나’는 10월 20일, ‘다’는 10월 27일, ‘라’는 10월 25일, ‘마’는 10월 22일이 나온다. ‘다’가 가장 늦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팁을 주자면, 어쨌든 H는 시작고도보다 높은 곳에 있으므로 <표 1>에서 최초로 5도 밑으로 떨어지는 날이 늦을수록 H에서 최초로 5도 밑으로 떨어지는 날도 늦을 것이다. 이 측면에서 후보군을 다~마 정도로 좁힐 수 있는데, 그중 ‘마’는 H가 300m나 위에 있어서 다, 라에 비해 기온이 훨씬 더 낮다. 결국 실질적으로 비교할 만한 산은 ‘다’와 ‘라’ 정도만 남는다.

     

    다만 실전에서 이런 통찰을 시도하다가 술술 풀리지 않으면 그냥 닥치고 따라간 것보다 못한 결과가 나올 수 있으니, 본인 통찰력에 강한 확신이 있는 게 아니라면 시키는 대로 쭉 가는 게 맞을 수도 있다.

    해설강의

     

    2014년 5급 PSAT 자료해석 후반부 해설강의

    밤프콘 자료해석 Live 스터디그룹 2014년 5급 자료해석 A책형 21번~40번 Live 강의영상입니다.

    contents.premium.naver.com

    댓글

    밤도리 프리미엄콘텐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