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5급 PSAT 자료해석 5번 해설 (가책형)
- 5급 PSAT 기출문제 해설/자료해석
- 2023. 3. 15.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3년 5급 PSAT 자료해석 가책형 5번 문제다.
조그맣고 귀엽다. 답도 빨리 나와서 압도적 감사!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23년 5급 PSAT 자료해석 5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1번>
심사완료자 중 인도적체류자의 비중은 매년 감소한다.
2019년과 2020년을 비교하면 심사완료자는 비슷한데 인도적 체류자는 상당히 커졌다. 이때는 비중이 증가했다. 생각을 수치로 풀자면 심사완료자는 10%도 증가하지 않았는데 인도적 체류자는 그보다 훨씬 큰 비율로 증가했다.
<오답 해설>
② 전년 대비 신규신청자 증가율이 가장 낮은 해는 2020년이다.
2020년의 전년 대비 신규신청자 증가율은 대충 1/3(33%)쯤이다(75→100). 나머지 해들은 모두 그것보다 유의미하게 크게 증가했다. 30%대에 걸치는 연도도 없어서 금방 판단 가능.
③ 난민인정률이 가장 낮은 해는 2019년이다.
2019년의 난민인정률은 2%도 채 안된다. 나머지 해들의 난민인정률은 모두 그것보다 유의미하게 높다. 그나마 2020년 보고 살짝 덜컥할 수 있지만 심사완료자를 6000으로 올려도 2%를 넘기 때문에 넉넉하다.
④ 신규신청자가 가장 많은 해와 신청철회자가 가장 많은 해는 같다.
둘 다 2020년이다.
⑤ 심사인력 1인당 신규신청자는 매년 증가한다.
16, 17년은 심사인력이 같은데 신규신청자가 늘었으니 당연하다. 18년에는 심사인력이 1.5배가 되었는데 신규신청자는 그보다 훨씬 크게 늘었고, 19년에는 심사인력이 1/3 증가했는데 역시 신규신청자는 그보다 훨씬 크게(40% 이상이다) 증가했다. 20년에도 심사인력이 25%(1/4) 증가하는 동안 신규신청자는 2번 해설에서 봤듯 33%(1/3)쯤 증가했다. 신규신청자의 증가율이 모든 해에서 더 높으니 옳다.
※ 실전에서는 안 봤던 선지라 해설 쓸 때 바로 생각나는 대로 적은 것인데, 그냥 2, 3, 4, 5로 나눠도 간단한 건 매한가지다. 자신에게 편하고 쉬운 쪽으로 가자.
주관적 체감 난이도
★☆☆☆☆
민경채 수준이다.
한림 풀서비스 기준 정답률: 90.5%
최고 선택률 오답 선지: 5번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