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5급 PSAT 자료해석 9번 해설 (가책형)
- 5급 PSAT 기출문제 해설/자료해석
- 2023. 3. 16.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3년 5급 PSAT 자료해석 가책형 9번 문제다.
이렇게 면적까지 표시된 산포도를 보통 보기 싫어들 하던데 일단 부딪쳐 봐야 한다. 외형을 통수치고 내용이 쉬운 경우가 많아서.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23년 5급 PSAT 자료해석 9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2번>
ㄱ, ㄷ
ㄱ. ‘면적당 서식종 수’가 가장 많은 섬이 ‘면적당 토속종 수’도 가장 많다. (O)
괄호 안에 수치가 그대로 적혀 있어서 이를 이용하면 된다. 단, 면적당~ 이 가장 많은 걸 찾고 싶으니 면적을 최소화해야 하는데, 그럼 원의 면적이 가장 작은 F부터 관찰하는 것도 방법일 것이다. F는 면적당 서식종 수가 딱 6이고 나머지는 죄다 한~참 못 미친다. 면적당 토속종 수도 F는 2배에 가까운데 나머지는 죄다 면적>토속종 수라서 비교가 안 된다.
ㄴ. ‘면적당 토속종 수’가 가장 적은 섬이 ‘서식종당 토속종 수’도 가장 적다. (X)
면적이 가장 큰 B부터 체크하자. 면적당 토속종 수가 2%도 안되고 나머지는 다 그것보다 훨씬 크다. 서식종당 토속종 수는 B가 1/4을 넘는데(90은 360의 1/4이다), 바로 옆 A는 그보다 작다. B에서 기준을 바로 세우지 않더라도 토속종 수는 AB가 비슷한데 서식종 수는 A가 훨씬 많다고 판단하면 된다.
ㄷ. C섬의 ‘면적당 서식종 수’ 순위는 F섬의 ‘서식종당 토속종 수’ 순위와 같다. (O)
안 풀게 돼야 할 선지다. 언급한 걸 기준 삼는다. C의 면적당 서식종 수는 대충 1.5배를 넘는데(매우 러프하게), 이보다 큰 녀석은 ㄱ에서 봤떤 F밖에 없다. 따라서 C는 2위. F의 서식종당 토속종 수는 30% 살짝 넘는데 이것보다 큰 녀석은 E뿐이므로 F도 2위다.
ㄹ. ‘면적’이 세 번째로 큰 섬이 ‘서식종 수’도 세 번째로 많다. (X)
단순 읽기. 전자는 E, 후자는 C다. 둘 중 하나를 먼저 찾은 경우, 그 섬보다 서식종 수가 많은 섬이 2개뿐인지를 체크한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앞 문제들보다 기준 세우기가 살짝 어려워졌지만 거기서 살짝 어려워져 봤자,,, 인 것 같다.
한림 풀서비스 기준 정답률: 82.9%
최고 선택률 오답 선지: 1번 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