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7급·민경채 PSAT 자료해석 21번 해설 (인책형)
- 7급 PSAT 기출문제 해설/자료해석
- 2024. 11. 6.
문제지
2023년 7급·민경채 PSAT 자료해석 인책형 21번 문제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23년 7급·민경채 PSAT 자료해석 21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3번>
ㄷ, ㄹ
ㄱ. 제20대 선거에서 투표소 수는 ‘아주’가 ‘중동’의 4배 이상이다. (X)
빈칸이 아닌 중동부터 본다. 중동 투표소가 21개이므로 '아주'가 84 이상이어야 옳은 선지다. 전체가 219이므로, 아주를 뺀 나머지의 합이 135 이하여야 아주가 84 이상이 된다. 더해 보면 135를 가볍게 넘는다.
ㄴ. 제20대 선거에서 투표율이 가장 높은 지역과 가장 낮은 지역의 투표율 차이는 15%p 이상이다. (X)
빈칸을 뺀 나머지 중에서 최고와 최저를 먼저 찾으면, 빈칸 바로 위아래의 83.0과 68.7이다. 일단 이 둘의 차이는 15%p가 안된다. 만약 빈칸이 83보다 크거나 68.7보다 작으면 다시 따져볼 여지가 있으므로 범위를 생각한다. 선거인 32 중 투표자 25면 80%가 살짝 안될 것이다. 빈칸이 83과 68.7 사이에 있으므로 결과는 그대로다. 틀린 선지.
ㄷ. 제20대 선거에서 투표소당 선거인 수는 ‘미주’가 ‘유럽’보다 많다. (O)
투표자 수 50이 투표율 약 70%를 차지한다. 7×7=49이므로 선거인 수를 70 넘는다고 봐 둔다. 그러고 나면 미주의 투표소당 선거인 수는 62→70+가 되고, 유럽은 47→32가 된다. 유럽은 선거인이 투표소보다 작으므로 계산할 것도 없다. 미주가 더 많다.
ㄹ. 제20대 선거와 제19대 선거의 선거인 수 차이가 큰 지역부터 순서대로 나열하면 ‘아주’, ‘미주’, ‘유럽’, ‘중동’, ‘아프리카’ 순이다. (O)
투표자 수에 투표율을 역산하면 선거인 수를 구할 수 있지만, 그걸 다 계산하라고 낸 선지일 리가 없다. 투표자 수가 지역마다 큰 차이를 보이면서, 각 지역의 투표율은 제19대와 제20대에서 그리 크지 않다. 따라서 역산을 해서 선거자 수를 내놓더라도 투표자 수의 지역 간 차이가 뒤집어지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투표자 수가 큰 순서대로인 '아주' '미주' '유럽' '중동' '아프리카' 순이 선거인 수에서도 유지된다.
프리미엄 해설
자세한 사고 과정이 궁금하다면 프리미엄 해설을 참조하세요.
2023년 7급 PSAT 자료해석 21번 프리미엄 해설
마지막 5문항까지 와서도 또 빈칸이 있으니 이번 시험이 빈칸 많았다고 우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도 이해는 된다. 또 적는 이야기지만… 빈칸이 무슨 상관인가. 문장 형태의 <보기> 박스가 있으므
contents.premium.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