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 7번 해설 (나책형)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1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 나책형 7번 문제다.

    비례 관계 선지가 두 개나 있다. 안 그래도 작은 표에 주석을 두 개나 달았는데, 당연히 두 개 모두 써먹게 되리라고 예상할 수 있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21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 7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5번>

    성능지표가 가장 낮은 프로그램은 내비게이션이다.

     

    성능지표는 기준시간을 수행시간으로 나눠 구한다. 내비게이션의 성능지표는 거의 정확히 14쯤 된다(정확히는 14.04인데, 이렇게까지 할 필요는 없고 그냥 14×5=70인 것 정도만 상기하자). 나머지 프로그램들은 성능지표가 다 나와 있고, 모두 이보다 높다.

     

    <오답 해설>

     

    ① 명령어 수가 많은 프로그램일수록 수행시간이 길다.

    명령어 수가 가장 적은 문서 편집부터 따라 올라가보자. 당장 명령어 수가 문서 편집보다 많은 양자 컴퓨팅의 수행시간이 문서 편집보다 짧다.

     

    ② CPI가 가장 낮은 프로그램은 기준시간이 가장 길다.

    CPI가 가장 낮은 프로그램은 양자 컴퓨팅이다. 양자 컴퓨팅의 기 준시간은 20,720인데 바로 밑에 이보다 긴 영상 압축(22,163)이 있다.

     

    ③ 수행시간은 인공지능 바둑이 내비게이션보다 짧다.

    인공지능 바둑의 수행시간은 성능지표를 이용해 구할 수 있다. 성능지표와 기준시간이 모두 주어져 있으므로 이를 이용해 수행시간을 구하면 최소한 500은 넘을 것이다(19×5=95이므로). 내비게이션의 수행시간이 정확히 500이므로 인공지능 바둑의 수행시간이 더 길다.

     

    ④ 기준시간이 짧은 프로그램일수록 클럭 사이클 수가 적다.

    CPI가 명령어 수 대비 클럭 사이클 수의 비율이다. 즉 명령어 수에 CPI를 곱하면 클럭 사이클 수가 나온다. 명령어 수가 눈에 띄게 적은 양자 컴퓨팅을 보자. 명령어 수 659에 CPI 0.44니까 클럭 사이클 수는 대충 300 언저리 될 거고, 이보다 클럭 사이클 수가 적은 프로그램은 슥 봐도 당연히 있을 수가 없다. 그런데 양자 컴퓨팅의 기준시간은 모든 프로그램 중 두 번째로 길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기초적인 자료이해 능력을 묻는 문제다. 주석도 기본적인 형태로 주어졌다. 푸는 방향이나 순서는 크게 의미없을 듯(시간이 정말 부족하다면 주석을 활용하는 선지부터 보는 방법이 있긴 하다).

    댓글

    밤도리 프리미엄콘텐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