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 18번 해설 (나책형)
- 민경채 PSAT 기출문제 해설/자료해석
- 2021. 11. 28.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17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 나책형 18번 문제다.
숫자가 좀… 많다. 자릿수 다른 숫자들이 모여 있으면 왠지 모르게 귀찮은 느낌이 든다. 귀찮은 거 시키기도 좋고.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17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 18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4번>
ㄱ, ㄴ, ㄹ
ㄱ. 2016년에 공개경쟁채용을 통해 채용이 이루어진 공무원 구분은 총 4개이다. (O)
공개경쟁채용 열에 숫자가 적혀 있는 칸이 몇 개인지 세면 된다. 4개가 맞다.
ㄴ. 2016년 우정직 채용 인원은 7급 채용 인원의 절반보다 많다. (O)
우정직 채용인원은 599명으로, 7급 채용인원인 1148의 절반보다 많다. 599를 대충 600이라 치고 2를 곱해보면 될 것.
ㄷ. 2016년에 공개경쟁채용을 통해 채용이 이루어진 공무원 구분 각각에서는 공개경쟁채용 인원이 경력경쟁채용 인원보다 많다. (X)
단순 비교 선지다. 5급, 7급, 9급, 연구직의 공채와 경채 칸을 비교하자. 연구직은 경채 인원이 더 많다.
ㄹ. 2017년부터 공무원 채용 인원 중 9급 공개경쟁채용 인원만을 해마다 전년대비 10 %씩 늘리고 그 외 나머지 채용 인원을 2016년과 동일하게 유지하여 채용한다면, 2018년 전체 공무원 채용 인원 중 9급 공개경쟁채용 인원의 비중은 40% 이하이다. (O)
주의하자. 9급 채용인원 전체를 10% 늘리는 게 아니다. 공채 인원만 10%다. 10%씩 두 번 늘리면 21%가 증가하니 630명이 증가한다는 얘기다. 3630명이 될 텐데, 630명의 증가분을 반영하기 전에도 이미 전체 공무원 채용 인원이 9천여 명이다. 여기에 40%를 한 게 딱 3600여 명이다. 그런데 선지에서는 2018년 전체 공무원 채용 인원이 기준이니, 9급에 더해준 630명을 분모인 9천여 명에도 더해줘야 한다. 딱 40%쯤이었던 분수의 분모에 630이 더해지면 당연히 40% 밑으로 떨어질 것이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ㄹ 선지에서 '공채'임을 체크하지 못하면 틀린다. 그것 때문에 별 하나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