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 20번 해설 (나책형)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17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 나책형 20번 문제다.

    표가 좀 빽빽하고 그림도 있어서 뭐부터 봐야 하나 당황할 수 있다. 표의 주석을 통해 표와 그림이 연계된다는 것 정도만 체크하고 내려가자.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17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 20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1번>

    ㄱ, ㄷ

     

    <표>의 지수 계산식 분모에는 각 해의 <그림> 속 한국 도시폐기물량이 들어간다.

     

    ㄱ. 2012년 도시폐기물량은 미국이 일본의 4배 이상이다. (O)

    같은 해끼리의 비교이므로 지수만 비교해도 된다(분모 동일). 미국이 12.73, 일본이 2.53으로 4배보다 차이가 크다.

     

    ㄴ. 2011년 러시아의 도시폐기물량은 8,000만톤 이상이다. (X)

    2011년 러시아의 지수는 3.87이다. 이는 2011년 한국 도시폐기물량×3.87=러시아 도시폐기물량임을 의미한다. 2011년 한국의 도시폐기물량이 2000이 안되므로, 여기에 4보다도 작은 3.87을 곱해봤자 8000까지는 못 간다.

     

    ㄷ. 2012년 스페인의 도시폐기물량은 2009년에 비해 감소하였다. (O)

    2009년에는 1901 × 1.33이다. 2012년에는 스페인이 순위에 없는데, 이는 2012년 스페인의 도시폐기물량지수가 1.40보다 작음을 의미한다. 2009년→2012년 구간에 한국의 도시폐기물량이 6% 정도 감소했는데, 지수가 1.39라고 쳐도 지수 증가율은 5%도 되지 못한다. 감소가 맞다.

    *1901 → 1788의 감소율은 차를 약 120, 1901의 1%를 약 20이라고 생각하면 편하게 구할 수 있다.

     

    ㄹ. 영국의 도시폐기물량은 터키의 도시폐기물량보다 매년 많다. (X)

    각 해마다 비교하는 것이니 역시 지수끼리만 비교하면 된다. 2012년에는 터키의 도시폐기물량지수가 영국보다 높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선지가 무지 간단해 보이는데, ㄷ 선지는 민경채치고 상당한 사고를 요한다.

    댓글

    밤도리 프리미엄콘텐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