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5급 PSAT 자료해석 31번 해설 (4책형)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16년 5급 PSAT 자료해석 4책형 31번 문제다.

    특수자료이긴 한데 이렇게 생긴 거 은근 자주 나와서(기분 탓인가?) 별 부담은 없다.

     

    ▶ 2016년 5급 PSAT 자료해석 풀이문제지 원본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16년 5급 PSAT 자료해석 31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4번>

    가장 낮은 지역 D, 가장 높은 지역 C

     

    가장 낮은 지역은 조건을 잘 살펴보면 바로 나온다. 토지소유 형태와 상관없이 개발제한구역의 개발 적합성 점수는 0점으로 하기 때문이다. A~E 중 개발제한구역에 있는 건 D뿐이므로, 가장 낮은 지역 개발 적합성 점수가 가장 낮은 지역은 D다.

     

    선지를 소거하고 나면 가장 높은 지역은 C, E만 비교하면 된다.

     

    토지이용 유형: C는 8점, E는 10점을 받는다. 가중치 0.6을 곱하면 E가 1.2점 앞선다.

    경사도: C는 10점, E는 5점을 받는다. 가중치 0.4를 곱하면 C가 2점 앞선다.

     

    여기까지 C가 앞서는 상황에서 마지막 조건을 적용한다. 토지소유 형태가 사유지이면 평가점수의 80%를, 국유지이면 평가점수의 100%를 부여한다. C는 국유지이고 E는 사유지이므로 더 볼 것도 없이 C가 높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가장 낮은 지역을 굉장히 허무하게(?) 알려주다 보니 금방 풀리는 문제다.

    댓글

    밤도리 프리미엄콘텐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