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5급 PSAT 자료해석 34번 해설 (4책형)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16년 5급 PSAT 자료해석 4책형 34번 문제다.

    귀찮다. 난이도가 문제가 아니라 이런 문제가 나오면 시간을 안 쓰려야 안 쓸 수가 없다. 마주쳤을 때 대충 시간 상황 보고 빡빡하다 싶으면 적당히 넘기는 지혜가 필요하다.

     

    ▶ 2016년 5급 PSAT 자료해석 풀이문제지 원본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16년 5급 PSAT 자료해석 34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3번>

    ㄱ, ㄹ

     

    일단 빈칸 채워보자. 조건을 안 따지고 채울 수 있는 빈칸이 두 개 있다. C는 1이고, 표훈원 직원 소계는 11이다.

     

    ○ 본청 경비국 직원 수(A)는 법전조사국 서무과 직원 수(E)의 1.5배이다.

    A=1.5E

     

    ○ 법전조사국 경비과 직원 수(D)는 본청 경비국 직원 수(A)에 본청 법제국 기록과 직원 수(B)를 합한 것과 같다.

    D=A+B=1.5E+B

     

    ○ 법전조사국 경비과 직원 수(D)는 본청 법제국 기록과 직원 수(B)의 3배와 본청 외사국 총무과 직원 수(C)를 합한 것과 같다.

    D=3B+1

    *C=1임을 미리 체크해놨어야 한다.

     

    ○ 법전조사국 서무과 직원 수(E)는 본청 외사국 총무과 직원 수(C)의 2배와 본청 법제국 기록과 직원 수(B)를 합한 것과 같다.

    E=2+B

     

    마지막에 E=2+B임이 주어졌기 때문에, 이를 이용해 D=1.5E+B와 D=3B+1를 연립할 수 있다. 연립하면

    3+2.5B=3B+1, 0.5B=2, B=4. B=4를 구하고 나면 나머지는 착착 채워진다. E=6, A=9, D=13까지.

     

    ㄱ. 표훈원 직원 수는 내각 전체 직원 수의 1/9이다. (O)

    표훈원 직원 수는 11명, 내각 전체 직원 수는 99명이다. 그냥 주는 선지다.

     

    ㄴ. 법전조사국 서무과 직원 수와 표훈원 서무과 직원 수의 합은 법전조사국 조사과 직원 수보다 크다. (X)

    법전조사국 서무과 직원 수(E)는 6명, 표훈원 서무과 직원 수는 4명이다. 합이 10명. 법전조사국 조사과 직원 수는 12명으로, 이쪽이 더 많다.

     

    ㄷ. 법전조사국 직원 수는 내각 전체 직원 수의 30 % 미만이다. (X)

    법전조사국 직원 수는 36명이다(D=13, E=6). 내각 전체 직원 수가 99명이므로 30%를 초과한다.

     

    ㄹ. A + B + C + D 의 값은 27이다. (O)

    A=9, B=4, C=1, D=13.

     

    주관적 체감 난이도

    ★★★☆☆

    시간이라는 요소를 빼고 난이도만 보면 별 하나 줘도 무방한데, 문제는 은근히 시간을 잡아먹는다는 것이다. 후반에 보고 정신이 좀 아득해졌다.

    댓글

    밤도리 프리미엄콘텐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