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5급 PSAT 자료해석 18번 해설 (인책형)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15년 5급 PSAT 자료해석 인책형 18번 문제다.

    으아아 너무 빽빽하다. 자료만으로도 빽빽하니 선지는 좀 낫지 않을까?

     

    ▶ 2015년 5급 PSAT 자료해석 풀이문제지 원본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15년 5급 PSAT 자료해석 18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2번>

    2012년 친환경인증 농산물의 종류별 생산량에서 무농약 농산물 생산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서류가 곡류보다 크다.

     

    곡류는 전체 34만 중 무농약 27만쯤, 서류는 전체 4.2만 중 무농약 3만쯤 된다. 전자는 3/4보다 크지만(이 계산이 어렵게 느껴진다면 무농약의 나머지인 7만이 34만의 1/4이 되는지 보자) 후자는 3/4보다 작다. 곡류 비중이 서류보다 크다.

     

    <오답 해설>

     

    ① 2012년 친환경인증 농산물 종류 중 전년대비 생산 감소량이 세 번째로 큰 농산물은 곡류이다.

    2012년에 곡류 생산량은 전년대비 2.8만쯤 감소했다. 과실류는 12만쯤, 채소류는 17만쯤, 서류는 1.8만쯤, 특용작물은 2.7만쯤, 기타는 증가. 곡류가 세 번째다.

     

    ③ 2012년 전라도와 경상도에서 생산된 친환경인증 채소류 생산량의 합은 적어도 16만 톤 이상이다.

    2012년 전라도와 경상도의 친환경인증 농산물 생산량 합이 108만쯤 된다. 친환경인증 농산물 중 채소류를 뺀 나머지의 생산량 합이 91만쯤 된다. 최소한 둘의 차만큼은 채소류 생산량이므로, 16만 톤 이상이 된다.

     

    ④ 2012년 각 지역내에서 인증형태별 생산량 순위가 서울과 같은 지역은 인천과 강원도 뿐이다.

    서울은 무농약 > 유기 > 저농약 순이다. 인천과 강원도도 이와 같은 순위를 나타내며, 나머지 지역 중에서는 이와 같은 순위를 보이는 곳이 없다. 죄다 유기 < 저농약이고, 제주는 유기가 1등이다.

     

    ⑤ 2012년 친환경인증 농산물의 생산량이 전년대비 30% 이상 감소한 지역은 총 2곳이다.

    30% 정도면 앞자리 숫자에서 좀 티가 나기 마련이다. 슥~ 훑어 보자. 부산과 전라도가 30% 이상 감소했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자료가 크고 숫자도 빽빽하다 보니 시선이 흔들리기 쉽다. 침착하게 봐야 한다. 자릿수는 적당히 쳐내고.

    해설강의

     

    2015년 5급 PSAT 자료해석 전반부 해설강의

    밤프콘 자료해석 Live 스터디그룹 2015년 5급 자료해석 인책형 1번~20번 Live 강의영상입니다.

    contents.premium.naver.com

    댓글

    밤도리 프리미엄콘텐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