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5급 PSAT 자료해석 16번 해설 (인책형)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15년 5급 PSAT 자료해석 인책형 16번 문제다.

    표는 간단하다. 이러면 선지가 좀 더 까다로워지기 마련이다.

     

    ▶ 2015년 5급 PSAT 자료해석 풀이문제지 원본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15년 5급 PSAT 자료해석 16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1번>

     

    ㄱ. 2011~2014년 육군의 A소총 신규 배치량이 매년 600정 더 많다면, 해당기간 육·해·공군 전체의 A소총 연평균 신규 배치량은 3,100정이다. (O)

    현재 2011~2014년 전체 신규 배치량 합이 정확히 10,000정이다(더하기 편한 숫자를 줬다). 평균 2,500정. 신규 배치량이 매년 600정 많아지면 평균도 고대로 600정 많아져 3,100정이 된다.

     

    ㄴ. 연도별 육·해·공군 전체의 A소총 신규 배치량 중 해군의 A소총 신규 배치량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작은 해는 2011년이다. (X)

    2011년의 해군 A소총 신규 배치량은 전체의 6분의 1이다. 2013년에는 그보다 작다. 2011년에는 6배, 2013년에는 6배 초과로 볼 때 암산이 더 빨라질 가능성이 있다.

     

    ㄷ. A소총 1정당 육군은 590만원, 해군은 560만원, 공군은 640만원으로 매입하여 배치했다면, 육·해·공군 전체의 A소총 1정당 매입가격은 2011년이 2014년보다 낮다. (X)

    가중평균이다. 2011년부터 보자. 육군과 해군의 소총 신규 배치량이 5:1 비율이다. 육군 590만 원과 해군 560만 원을 5:1로 가중평균하면 585만 원이 나온다. 2014년에는 해군과 공군의 소총 신규 배치량이 3:1 비율이다. 해군 560만 원과 공군 640만 원을 3:1로 가중평균하면 580만 원이 나온다. 2011년의 소총 1정당 매입가격이 더 높다.

    ※ 관찰값=군별 A소총 1정당 매입가격, 가중치=군별 신규 배치량, 가중평균값=전체 A소총 1정당 매입가격

     

    주관적 체감 난이도

    ★★☆☆☆

    ㄷ에서 가중평균 아이디어를 못 잡는 케이스가 있더라. 나머지 선지는 무난하다.

    해설강의

     

    2015년 5급 PSAT 자료해석 전반부 해설강의

    밤프콘 자료해석 Live 스터디그룹 2015년 5급 자료해석 인책형 1번~20번 Live 강의영상입니다.

    contents.premium.naver.com

    댓글

    밤도리 프리미엄콘텐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