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 3번 해설 (인책형)
- 민경채 PSAT 기출문제 해설/자료해석
- 2022. 1. 17.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15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 인책형 3번 문제다.
늘 나오는 유형이다. 자료가 복잡해 뵈지는 않는다.
▶ 2015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 풀이문제지 원본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15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 3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4번>
ㄱ, ㄴ, ㄹ
㉠ 3D 입체영상 분야의 경우 2000~2010년 일본 특허출원 건수는 3개국 전체 특허출원 건수의 60% 이상을 차지하였다. (O)
<표>에서 확인한다. 해당 기간 일본의 3D 입체영상 특허출원 건수는 3620건, 전체 건수는 5655건이다. 기준이 60%인데, 6×6=36을 떠올렸다면 굿. 전체 건수가 6000건일 때 60% 값이 3600건이다. 지금은 전체 건수가 6000건도 안되므로, 3620건은 당연히 60%를 넘는다.
㉡ 3D 입체영상 분야에서 2007~2010년 동안 한국 특허출원 건수는 매년 미국 특허출원 건수를 초과하였다. (O)
<그림 1>에서 확인한다. 한국 그래프는 사각형, 미국은 원이다. 2007년~2010년에는 항상 한국이 위에 있다.
㉢ 2003년 이후 CG 분야에서 한국 특허출원 건수는 매년 미국 특허출원 건수보다 적지만 (X)
<그림 2>에서 확인한다. 2009년에는 한국이 미국보다 많다.
㉣ 2000~2010년 동안 한국과 일본의 CG 분야 특허출원 건수의 차이는 2010년에 가장 작았다. (O)
2010년에 한국과 일본의 그래프 높이 차이가 가장 작다. 직관적으로 보여서 더 쓸 말이 없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어려운 자료가 아니라 금방 풀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