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5급 PSAT 언어논리 38번 해설 (나책형)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2년 5급 PSAT 언어논리 나책형 38번 문제다.

    분량에 비해 알맹이가 작다. 거품인 부분을 걷어내고 읽는다면 무난하다.

     

    ▶ 2022년 5급 PSAT 언어논리 실전 풀이문제지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22년 5급 PSAT 언어논리 38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4번>

    ㄴ, ㄷ

     

    어차피 선지에서 시키는 게 다 똑같아서 미리 정리하기로 한다.

     

    처리 1: 큰 개체 보호 / 작은 개체 잡기

    처리 2: 작은 개체 보호 / 큰 개체 잡기

    처리 3: 무작위 (대조군)

     

    ㉠에 따르면 처리 1에서 회복이 느리고 처리 2에서 빨라야 하며, ㉡에 따르면 처리 1에서 큰 개체 비율이 증가해야 하고 처리 2에서 작은 개체 비율이 증가해야 한다.

     

    ㄱ. 탱크 속 개체 수가 회복되는 시간과 개체의 평균 크기를 비교했을 때, 처리1을 한 탱크와 처리3을 한 탱크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면, ㉠은 강화되지만 ㉡은 약화된다. (X)

    처리 1에서 개체 수가 회복되는 시간이 더 느리고 개체의 평균 크기는 더 커져야 한다. 대조군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면 ㉠과 ㉡ 모두 약화된다.

     

    ㄴ. 처리2를 한 탱크 속 개체의 수가 처리3을 한 탱크 속 개체의 수보다 빠르게 회복되었지만, 처리2를 한 탱크 속 개체의 평균 크기는 처리3을 한 탱크 속 개체의 평균 크기보다 작아졌다면, ㉠과 ㉡ 모두 강화된다. (O)

    처리 2에서 개체 수가 회복되는 시간이 더 빠르고(㉠) 개체의 평균 크기는 더 작아져야 한다(㉡). 두 결과 모두 가설대로이므로 ㉠과 ㉡ 모두 강화된다.

     

    ㄷ. 처리3을 한 탱크 속 개체의 수가 처리1을 한 탱크 속 개체의 수보다 빠르게 회복되었지만, 처리3을 한 탱크 속 개체의 평균 크기는 처리1을 한 탱크 속 개체의 평균 크기보다 커졌다면, ㉠은 강화되지만 ㉡은 약화된다. (O)

    처리 1에서 개체 수가 회복되는 시간이 더 느리므로 ㉠은 강화되지만, 처리 1보다 처리 3에서 큰 개체 비율 높으므로(평균 크기 큼) ㉡은 약화된다.

    프리미엄 해설

    자세한 사고 과정이 궁금하다면 프리미엄 해설을 참조하세요.

     

    2022년 5급 PSAT 언어논리 38번 프리미엄 해설

    후반부에 이렇게 시험지 한 단을 꽉 채우는 논증 문제가 나오면 초심자는 쫄기 마련이지만, 숙련자 입장에서는 '오히려 좋아!'일 수 있다. 읽을 부분이 더 적은 경우가 많기 때문. 이 문제만 해도

    contents.premium.naver.com

    주관적 체감 난이도

    ★★★☆☆

    문제가 앞쪽에 있었다면 정답률이 좀 올라오지 않았을까 싶다.

     

    정답률: 37% (메가피셋 합격예측 풀서비스 기준)

     

    [PSAT 언어논리] 논증·실험 기출모음

    PSAT 언어논리 논증·실험 기출문제 모음 자료입니다. 인사혁신처가 2011년 이후 출제한 5급·7급·민경채 PSAT 언어논리 문항 중 논증 비교·분석, 강화·약화, 지지·반박, 실험 문제들이 모여 있습니

    contents.premium.naver.com

    댓글

    밤도리 프리미엄콘텐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