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5급 PSAT 자료해석 19번 해설 (A책형)
- 5급 PSAT 기출문제 해설 / 자료해석
- 2022. 4. 22.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14년 5급 PSAT 자료해석 A책형 19번 문제다.

겉보기가 좀 무시무시하다. 그나마 앞 문제들이 시간을 많이 잡아먹을 것들이 아니라서 건드려볼 여유는 충분할 듯. 건드려보면 막상 그렇게 무시무시하지는 않은데… 이걸 계산 실수를 했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14년 5급 PSAT 자료해석 19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3번>
ㄱ, ㄴ, ㄹ
ㄱ. 가구의 결핍계수가 큰 가구부터 순서대로 나열하면 B, D, C, A 이다. (O)
‘예’라고 답한 항목 점수를 그냥 더하면 된다. 더하는 과정은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으니 생략. A 4점, B 11점, C 7점, D 9점이다. B, D, C, A 순으로 크다.
ㄴ. ‘갑’ 마을의 빈곤상태비중은 결핍강도보다 크다. (O)
갑 마을 가구 중 결핍계수가 5.5보다 큰 B, C, D가 빈곤가구에 해당한다. 모든 가구 구성원수의 합은 27, 빈곤가구의 결핍계수의 합도 27이 나온다. 빈곤상태비중 식에서 앞의 분수는 사라지고 5/9만 남는다. 빈곤상태비중은 5/9다.
결핍강도를 보자. 빈곤가구의 가구 구성원수는 모두 21명이다. 분모는 21×10. 빈곤가구의 결핍계수는 각각 11, 7, 9이고 구성원수는 9, 9, 3이다. 11+7+3을 해서 21×9로 묶을 수 있다. 결핍강도 식의 앞 분수는 0.9다. 어떤 수에 1보다 작은 수를 곱하면 작아지므로 결핍강도는 5/9보다 작고, 빈곤상태비중이 더 크다.
ㄷ. ‘갑’ 마을의 빈곤지수는 0.3보다 크다. (X)
빈곤지수는 빈곤상태비중과 결핍강도를 곱한 값이다. 빈곤상태비중은 5/9, 결핍강도는 0.9×5/9였다. 5/9끼리 곱하면 25/81이고, 여기에 다시 0.9(9/10)를 곱하면 25/90이 된다. 0.3(30%)이 안된다.
ㄹ. 가구 A가 다른 마을로 전출하게 되면, ‘갑’ 마을의 빈곤지수는 상승한다. (O)
가구 A가 빠졌을 때 식에서 어느 부분이 영향을 받을까? A는 빈곤가구가 아니므로 빈곤상태비중 계산식에서 ‘모든 가구 구성원수의 합’에만 영향을 줄 수 있다. A가 빠지면 이게 줄어들 거고, 분모만 줄어드니 빈곤상태비중은 커질 것이다. 그럼 빈곤지수도 상승한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귀찮아 보이는 외관을 뚫고 건드리는 게 첫 번째, 중간에 실수 안 하는 게 두 번째다.
해설강의
2014년 5급 PSAT 자료해석 전반부 해설강의
밤프콘 자료해석 Live 스터디그룹 2014년 5급 자료해석 A책형 1번~20번 Live 강의영상입니다.
contents.premium.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