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5급 PSAT 자료해석 28번 해설 (A책형)
- 5급 PSAT 기출문제 해설/자료해석
- 2022. 4. 23.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14년 5급 PSAT 자료해석 A책형 28번 문제다.
표가 단순하고 문제도 쪼그맣다. 이러면 왠지 귀찮은 걸 시킬 것 같아서 역으로 불안해질 때가 있다. 각주 식을 잘 보자. 이 작은 문제에서 안 써먹을 리가 없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14년 5급 PSAT 자료해석 28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1번>
2013년 5개 품목 목표재고량의 합계는 2012년보다 증가한다.
목표재고량은 각주1의 식에 따라 구하는데, 우리는 대소비교를 하고자 하니 고정된 분모인 365일은 무시하고 ‘전년도 수입수요량×목표재고일수’만 더해서 비교하자. 2011년과 2012년의 수입수요량 차이에 목표재고일수를 곱하면 2012년과 2013년의 목표재고량 차이가 나올 것이다. 품목별로 구해보면 다음과 같다.
알루미늄: +3천 × 40 = +12만
구리: -5천 × 80 = -40만
납: +3천 × 40 = +12만
아연: -1천 × 60 = -6만
니켈: +4천 × 60 = +24만
목표재고량이 증가한 쪽의 합은 +48만, 감소한 쪽의 합은 –46만이다. 총 +2만이므로 2013년 5개 품목 목표재고량의 합계는 2012년보다 증가한다.
<오답 해설>
② 2013년 목표재고량이 전년보다 감소한 품목의 수는 3개이다.
2011년→2012년에 수입수요량이 감소하면 목표재고량도 감소한다. 구리와 아연만 감소했다.
③ 2013년 목표재고량이 가장 큰 품목은 구리이다.
구리의 2013년 목표재고량은 34000×80으로 둘 수 있다(정답해설에서 썼듯 나누기 365일은 날리자). 바로 위에 알루미늄이 92000×40으로 당연히 저것보다 크다.
④ 납의 2013년 목표재고일수가 10일로 줄어들면, 같은 해 납의 목표재고량은 전년보다 증가한다.
납의 2012년 목표재고량을 1400×40으로 두자. 2013년 목표재고일수가 10일이라면, 2013년의 목표재고량은 4400×10이 될 거다. 전자가 더 크다.
⑤ 2012년 목표재고량은 구리가 납의 50배 이하이다.
구리는 39000×80, 납은 1400×40으로 두자. 39000은 1400의 25배를 넘고, 80은 40의 2배다. 25배 초과×2배 = 50배 초과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각주 식 활용하는 전형적인 문제. 한 번 이해하고 나면 모든 선지가 술술이다.
해설강의
2014년 5급 PSAT 자료해석 후반부 해설강의
밤프콘 자료해석 Live 스터디그룹 2014년 5급 자료해석 A책형 21번~40번 Live 강의영상입니다.
contents.premium.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