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7급·민경채 PSAT 자료해석 6번 해설 (가책형)
- 7급 PSAT 기출문제 해설/자료해석
- 2022. 7. 29.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2년 7급·민경채 PSAT 자료해석 가책형 6번 문제다.
이제 좀 구조상 귀찮아 보이는 친구가 나오기 시작했다. 근데 열어 보니 속은 또 그렇지가 않고… 여전히 힘 빠진 구간이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22년 7급·민경채 PSAT 자료해석 6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1번>
ㄱ
ㄱ. A지역의 3등급 쌀 가공비용은 B지역의 2등급 현미 가공비용보다 크다. (O)
가공비용은 가공단가와 가공량을 곱해 구한다. A지역의 3등급 쌀은 100×25, B지역의 2등급 현미는 97×25다. 계산할 필요 없겠지? 100×25 쪽이 더 크다.
ㄴ. 1등급 현미 전체의 가공비용은 2등급 현미 전체 가공비용의 2배 이상이다. (X)
1등급 현미와 2등급 현미의 가공단가는 각각 105, 97로 그렇게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10%도 안된다). 그럼 가공량 쪽에서 2배 가까이 차이가 나 줘야 이게 옳은 선지가 될 수 있는데, 그렇지도 않다. 1등급 현미 전체 가공량은 106, 2등급 현미는 82다. 이쪽도 큰 차이가 없으니 2배까지 가는 건 무리겠다.
ㄷ. 3등급 쌀과 3등급 보리의 가공단가가 각각 90천 원/톤, 50천 원/톤으로 변경될 경우, 지역별 가공비용 총액 감소폭이 가장 작은 지역은 A이다. (X)
어차피 가공단가 감소율은 똑같이 가져가니 가공량이 적은 지역일수록 가공비용 총액 감소폭도 작을 것이다. A지역의 가공량은 3등급 쌀 25, 보리 7인데, C지역의 가공량이 쌀과 보리 모두 A지역보다 적다.
프리미엄 해설
자세한 사고 과정이 궁금하다면 프리미엄 해설을 참고하세요.
2022년 7급 PSAT 자료해석 6번 프리미엄 해설
이 문제는 이번 7급 PSAT 시즌 동안 7급 수험생 분들을 상담할 때 내담자의 자료'해석' 능력을 판단하는 지표가 되어 주었다. 자료해석 점수가 안 나오는 수험생 대다수는 실전 시험지를 펼쳤을 때
contents.premium.naver.com
주관적 체감 난이도
★★☆☆☆
ㄷ 선지를 풀기 위해 손계산을 했다면 해석능력 강화가 필요하다.
메가피셋 풀서비스 기준 정답률: 79.2%
최고 선택률 오답 선지: 4번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