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7급·민경채 PSAT 자료해석 17번 해설 (가책형)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2년 7급·민경채 PSAT 자료해석 가책형 17번 문제다.

    시험 전 모의고사 특강 때 나올 가능성 높다고 했던 분산형 차트. 아주 반갑게도 나와 줬다(심지어 뒤에 하나 더 있어).

     

    ▶ 2022년 7급 PSAT 실전 풀이문제지 원본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22년 7급·민경채 PSAT 자료해석 17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2번>

    ㄱ, ㄷ

     

    ㄱ. 스마트시스템 도입 업체 수가 가장 많은 업종은 ‘자동차부품’이다. (O)

    스마트시스템 도입 업체 수는 <그림 1>의 업체 수에 도입률을 곱해 나온다. ‘자동차부품’ 먼저 대충 보자. 업체 수 766개에 도입률 35.1%다. 대충 270개쯤 된다고 치자(800으로 올리고 35%를 곱해 280으로 쳐도 무방하다). 자동차부품보다 스마트시스템 도입 업체 수가 많으려면 업체 수와 도입률 중 적어도 하나는 더 커야 한다. 그런데 도입률 쪽은 볼 게 없다. 자동차부품이 도입률 1위니까. 그럼 업체 수가 자동차부품보다 적은 4개는 비교 대상이 아니다. 업체 수가 더 많은 3개는 어떤가? 기계장비, 소재, 금속제조 업체 수가 자동차부품보다 많긴 하지만 2배까진 안된다. 그런데 도입률 차이는 2배를 훌쩍 넘는다. 셋 중 도입률이 가장 높은 기계장비의 도입률이 15.6%인데 이조차도 자동차부품의 반에 못 미친다. 이쪽도 비교가 안 될 것 같다. 자동차부품의 스마트시스템 도입 업체 수가 가장 많다.

     

    ㄴ. 고도화율이 가장 높은 업종은 스마트시스템 고도화 업체 수도 가장 많다. (X)

    고도화율이 가장 높은 업종은 항공기부품이다. 스마트시스템 고도화 업체 수는 <그림 1>의 업체 수에 도입률×고도화율을 곱해 나온다. 항공기부품 거 계산하기 전에 한 번 생각해보자. 도입률×고도화율은 그림에서 우상향할수록 커진다. 대부분 항공기부품보다 훨~씬 원점에 가까워서(좌하향해 있다) 그 값이 작겠지만, 자동차부품은 항공기부품과 별 차이가 안 나는 지점에 있다. 숫자를 직접 봐도 비슷비슷해 보인다. 그런데 자동차부품의 업체 수는 항공기부품의 7배가 넘는다. 자동차부품의 스마트시스템 고도화 업체 수가 더 많겠네.

     

    ㄷ. 업체 수 대비 스마트시스템 고도화 업체 수가 가장 높은 업종은 ‘항공기부품’이다. (O)

    ㄴ에서 이미 어느 정도 나왔다. 선지에서 말한 ‘업체 수 대비 스마트시스템 고도화 업체 수’는 곧 도입률×고도화율이다. <그림>에서 우상향할수록 커지는 값이다. 항공기부품이 가장 우상향해 있다(눈으로 잘 안 보이면 자동차부품과 숫자 비교를 해도 된다. 둘 다 커서 금방 보인다).

     

    ㄹ. 도입률이 가장 낮은 업종은 고도화율도 가장 낮다. (X)

    도입률이 가장 낮은 업종은 식품바이오, 고도화율이 가장 낮은 업종은 금형주조도금이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ㄴ은 다른 비교 방법도 많을 것이다. 업체 수가 압도적으로 큰 쪽을 봐도 될 것 같고.

     

    메가피셋 풀서비스 기준 정답률: 81.8%

    최고 선택률 오답 선지: 4번 6.0%

    댓글

    밤도리 프리미엄콘텐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