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7급·민경채 PSAT 자료해석 19번 해설 (가책형)
- 7급 PSAT 기출문제 해설/자료해석
- 2022. 7. 30.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2년 7급·민경채 PSAT 자료해석 가책형 19번 문제다.
또다시 분산형 차트! 17번에 비해서는 좀 더 깊이 있는 해석을 요한다. 사실 나는 그러거나 말거나 분산형 차트 2개나 나와서 싱글벙글 하고 있었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22년 7급·민경채 PSAT 자료해석 19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3번>
ㄱ, ㄷ
ㄱ. 8개 어종 중 2019년 어획량이 가장 많은 어종은 고등어이다. (O)
<표>의 2020년 어획량에 전년비를 역산하면 나오는데 굳이 계산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전년비가 120%라면 ‘2020년 어획량이 2019년 어획량의 120%’라는 뜻이고, 이는 ‘전년 대비 20% 증가했다’와도 같은 의미다. 고등어는 2020년 어획량이 압도적으로 가장 많고, 전년비가 100이 안되니 2019년 어획량은 2020년보다도 많다. 다른 어종의 2019년 어획량이 이를 뛰어넘으려면 전년비가 아주아주 낮아서 ‘2019년 어획량은 2020년 어획량의 수 배!’를 만들어야 하는데… 고등어보다 전년비가 낮은 어종은 광어 하나뿐인 데다가 그마저도 40% 언저리에, 2020년 어획량도 5천 정도로 너무 적다. 비교가 전혀 안된다. 고등어가 가장 많다.
ㄴ. 8개 어종 각각의 2019년 어획량은 해당 어종의 2011~2020년 연도별 어획량의 평균보다 적다. (X)
평년비의 분자 자리에 2019년 어획량을 넣고 싶다. 평년비를 전년비로 나누면 그렇게 될 것이다. 즉 평년비가 전년비보다 크면 (나눈 값이 100%보다 클 테니) 2019년 어획량이 2011~2020년 평균보다 많고, 그 반대면 2019년 어획량이 더 적다. 다른 어종은 모두 평년비가 전년비보다 작지만 ‘조기’는 평년비가 전년비보다 크다.
※ 차트의 축 간격이 동일하니 45도 대각선을 상상하거나, 상상하기 어려운 경우 그려놓고 판단하면 편리하다. 조기만 대각선 위에 있다. 한편, ㄴ이 옳으려면 모르긴 몰라도 모든 점이 대각선을 기준으로 한 방향에 몰려 있어야겠다는 눈치를 챌 수도 있다.
ㄷ. 2021년 갈치 어획량이 2020년과 동일하다면, 갈치의 2011~2021년 연도별 어획량의 평균은 2011~2020년 연도별 어획량의 평균보다 크다. (O)
계산 대신 해석을 해보자. 갈치의 평년비는 120을 살짝 넘는다. 2020년 어획량이 2011~2020년 평균의 120%를 넘는다는 뜻이다. 편의상 120%라고 치고, 평균의 120%를 더해서 다시 평균을 내면 어떻게 될까? 당연히 평균이 커질 것이다. 좀 더 단순화하자면… 숫자 1, 2, 3, 4가 있다. 이 네 숫자의 평균은 2.5다. 3은 평균보다 크지? 평균보다 큰 3을 하나 더 더해서 다시 평균을 내면 당연히 2.5보다 크다.
프리미엄 해설
자세한 사고 과정이 궁금하다면 프리미엄 해설을 참조하세요.
2022년 7급 PSAT 자료해석 19번 프리미엄 해설
작년 7급 시험 전 미니모강 출제 시 산포도가 나올 가능성을 높게 보고 좀 힘을 줘서 문제 하나 만들었었는데, 실전에서 산포도가 두 개나 나와서 굉장히 반겼던 기억이 난다. 다만 이 문제는 산
contents.premium.naver.com
주관적 체감 난이도
★★☆☆☆
계산했다면 진득한 리뷰가 필요하다.
메가피셋 풀서비스 기준 정답률: 73.5%
최고 선택률 오답 선지: 1번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