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7급·민경채 PSAT 자료해석 21번 해설 (가책형)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2년 7급·민경채 PSAT 자료해석 가책형 21번 문제다.

    재작년에 나온 7급 모의평가 15번을 복붙한 거나 마찬가지인 문제다. 보고 좀 뜨악했다. 이걸 2년 만에 또 낸다고?

     

    ▶ 2022년 7급 PSAT 실전 풀이문제지 원본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22년 7급·민경채 PSAT 자료해석 21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3번>

    C

     

    두 가지 길이 있다. 하나는 고정원가와 변동원가율을 이용해 제조원가를 먼저 구하고, 제조원가율을 역산해 매출액을 구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고정원가와 변동원가율을 이용해 변동원가를 구하고, 거기에 변동원가율×제조원가율을 역산해 매출액을 구하는 것이다. 나는 후자를 택했으니 그것부터.

     

    제조원가가 고정원가와 변동원가의 합이므로, 100에서 변동원가율을 빼면 고정원가율이 나온다. 예컨대 A는 변동원가율이 40%니 고정원가율은 60%다. 그럼 고정원가 60,000이 60%니까 40%에 해당하는 변동원가는 40,000이라는 결론을 낼 수 있다. 이 과정을 반복해 A~E의 변동원가를 모두 구할 수 있다. 순서대로 (천 단위) 40, 54, 22, 12.5, 10이 나온다.

     

    변동원가율과 제조원가율을 곱하면 변동원가가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변동원가/매출액)이 나온다. A~E 순서대로 10%, 18%, 12%, 2%, 5%다. 앞서 구한 변동원가에 이 비중을 역산하면 매출액이 나온다. A~E 순서대로 400, 300, 176(근사치), 625, 200이다. C의 매출액이 가장 작다.

     

    제조원가를 구하는 경우, 위의 과정에서 나온 변동원가를 고정원가에 더하면 된다. 이 제조원가에 제조원가율을 역산하면 마찬가지로 매출액이 나온다.

    프리미엄 해설

    자세한 사고 과정과 시선처리 순서가 궁금하다면 프리미엄 해설을 참조하세요.

     

    2022년 7급 PSAT 자료해석 21번 프리미엄 해설

    이런 계산 문제, 특히 각주 식을 챱챱 요리해먹어야 하는 문제를 다수의 수험생이 기피한다는 걸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시험장에서 21번을 마주친 나는 좀 다른 의미로 적잖게 당황했다. 한눈

    contents.premium.naver.com

    주관적 체감 난이도

    ★★☆☆☆

    계산하는 게 좀 귀찮다는 것만 빼면 무난한 문제다. 심지어 모의평가에서 연습까지 시켜 줬다!

     

    메가피셋 풀서비스 기준 정답률: 54.5%

    최고 선택률 오답 선지: 4번 15.1%

    댓글

    밤도리 프리미엄콘텐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