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5급 PSAT 상황판단 30번 해설 (가책형)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1년 5급 PSAT 상황판단 가책형 30번 문제다.

    뭐랄까 요거랑 비슷한 스타일의 문제 많이 본 것 같다. 식을 줬고 질량도 친절하게 1000으로 줬으니, 선지에서 남은 미지수 2개 중 하나 알려주면 그거 가지고 해결하면 된다. 금속 종류별로 밀도가 다른 걸 보니 가중평균도 쓰게 생겼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21년 5급 PSAT 상황판단 30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4번>

    ㄱ, ㄴ, ㄹ

     

    글 하단의 식에서 질량은 1000으로 주어져 있다.

     

    ㄱ. 대장장이가 왕관을 금으로만 만들었다면, 넘친 물의 부피는 50 cm3이다. (O)

    밀도가 20이라는 뜻이다. 식에 대입하면 20=1000/50이 된다.

     

    ㄴ. 넘친 물의 부피가 80 cm3이고 왕관이 금과 은으로만 만들어졌다면, 왕관에 포함된 은의 부피는 왕관에 포함된 금 부피의 3배이다. (O)

    부피가 80이라면 밀도는 1000/80=12.5가 된다. 금의 밀도는 20, 은의 밀도는 10이므로 가중평균을 활용한다. 2.5:7.5 비율이므로 은3:금1임을 알 수 있다.

     

    ㄷ. 넘친 물의 부피가 80 cm3이고 왕관이 금과 구리로만 만들어졌다면, 왕관에 포함된 구리의 부피는 왕관에 포함된 금 부피의 3배 이상이다. (X)

    ㄴ과 마찬가지로 밀도가 12.5다. 그런데 이번엔 은이 아니라 구리가 들어가 있다. 구리의 밀도는 9이므로, 가중평균을 활용하면 3.5:7.5 비율이 나온다. 이러면 3:1보다 작은 비가 나온다. 2.xxx:1이 되겠지? 구리가 금의 3배 미만이다.

     

    ㄹ. 넘친 물의 부피가 120 cm3보다 크다면, 왕관은 철을 포함하고 있다. (O)

    부피가 120이라고 가정해보자. 1000/120=8.33이다. 철을 제외한 금속들은 모두 밀도가 9 이상이다. 철이 포함되지 않는 한 밀도 8점대가 나올 수 없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막힌다면 ㄹ에서 막힐 수 있겠다. 밀도 가중평균 활용에 실패하면 좀 어려워진다.

    댓글

    밤도리 프리미엄콘텐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