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7급·민경채 PSAT 자료해석 10번 해설 (인책형)
- 7급 PSAT 기출문제 해설/자료해석
- 2024. 11. 3.
문제지
2023년 7급·민경채 PSAT 자료해석 인책형 10번 문제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23년 7급·민경채 PSAT 자료해석 10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5번>
ㄴ, ㄷ, ㄹ
ㄱ. 연도별 전체 발생 건수 상위 2개 연도의 발생 건수 합은 하위 2개 연도의 발생 건수 합의 3배 이상이다. (X)
상위 2개는 74와 59이고 하위 2개는 29와 23이다. 하위 2개를 합쳐 52이므로 이것의 3배 이상이면 150을 넘어가야 하는데, 74와 59는 꼭 더해보지 않아도 150에 못 미친다.
ㄴ. ‘큰 비’가 가장 많이 발생한 해에는 ‘우박’도 가장 많이 발생했다. (O)
우박이 가장 많이 발생한 해는 9건의 1405년이고, 그때 큰 비는 27건 발생했다. 빈칸을 제외하고는 27보다 큰 연도가 없으므로, 빈칸이 27보다 큰지를 확인해야 한다. 빈칸이 있는 연도의 전체 값이 59이므로, 만약 빈칸을 뺀 나머지를 더해나가다가 32를 넘어가면 빈칸이 27보다 작아지므로 ㄴ이 옳은 선지가 된다. 큰 값부터 하나씩 더해나가다 보면 32를 넘는다.
ㄷ. 1401 ~ 1418년 동안의 발생 건수 합 상위 5개 유형은 ‘천둥번개’, ‘큰 비’, ‘벼락’, ‘우박’, ‘짙은 안개’이다. (O)
맨 아래 '합' 행에 빈칸이 있는데, 우선 빈칸을 뺀 나머지에서 상위 5개 유형을 찾는다. 1위부터 순서대로 벼락(96), 천둥번개(83), 우박(76), 짙은 안개(64), 가뭄 및 홍수(57)가 나온다. 4위까지는 선지의 리스트와 일치하므로 빈칸인 '큰 비'가 5위인 가뭄 및 홍수보다 큰지를 확인해야 한다.더해서 57만 넘으면 되는데, 큰 비 열에는 두 자릿수가 너무 많아서 딱 봐도 57보단 클 것이다.
ㄹ. 1402년에 가장 많이 발생한 유형은 1408년에도 가장 많이 발생했다. (O)
두 연도에 모두 빈칸이 있어서 이것을 구하지 않고서는 풀 수 없다(ㄹ을 안 건드리고 풀이가 끝나야 한다). 빈칸을 뺀 나머지 수들이 크지 않아서 연산은 쉽다. 1402년은 빈칸 나머지의 합이 26이라 빈칸이 가장 크고, 1408년도 빈칸 나머지의 합이 16이라 빈칸이 가장 크다.
프리미엄 해설
자세한 사고 과정이 궁금하다면 프리미엄 해설을 참조하세요.
2023년 7급 PSAT 자료해석 10번 프리미엄 해설
아마 9번까지 술술 풀어오다가 이 문제의 외형을 보고 "으악!" 했던 수험생들도 있을 것이다. 얼마나 반복했던가. 외형에 쫄지 말라고. 드가보자. 문장 형태의 <보기> 박스가 있으므로 곧장 선지
contents.premium.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