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5급 PSAT 언어논리 15번 해설 (나책형)
- 5급 PSAT 기출문제 해설/언어논리
- 2021. 10. 7.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0년 5급 PSAT 언어논리 나책형 15번 문제다.
많은 조건이 줄글로 쓰여 있어 좀 복잡하게 보인다. 직관적인 판단이 어렵도록 조건을 겹쳐 놓은 것도 짜증 포인트. 이런 문제는 좀만 방심하면 착각하기 쉽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20년 5급 PSAT 언어논리 15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4번>
X에 속한 장수 노인 중에 체지방 비율이 정상 범위를 넘어서지 않는 사람이 있다.
일단 전제와 조사 결과를 빠짐없이 이해해야 한다. 먼저 장수 조건은 다음 세 가지다.
장수 조건: 행복한 결혼생활, 규칙적인 운동, 짜거나 기름진 음식 X
각각 '결혼' '운동' '음식'이라고 부르기로 하자.
연구에서 장수 노인은 이 조건에 모두 부합한다고 한다. 따라서
장수 노인 = 결혼 and 운동 and ~음식
다음으로 문단3의 내용을 봐야 한다. 순서대로 따라가자. '~결혼'이면 면역지수가 낮다. 조기 사망자는 모두 면역지수가 낮았다. 이건 면역지수가 낮았다는 걸 그대로 가져간다. 후건긍정이므로 결혼에 관련해서는 알 수 있는 게 없다.
조기 사망자 = 면역지수 ↓
~음식이면 혈중 콜레스테롤 지수가 낮게 나타났는데, 조기 사망자는 모두 콜레스테롤 지수가 높았다. 따라서
조기 사망자 = 음식
마지막은 좀 꼬여 있는데 베타 호르몬을 건너뛰고(완벽하게 연결돼 있다) 운동 안 하면 체지방 비율이 정상 범위를 넘어선다고 이해해도 된다. 조기 사망자는 아무도 체지방 비율이 정상 범위를 넘어서지 않았으므로 모두 운동을 했다.
조기 사망자 = 운동
이제 선지와 맞춰보자. 정답 선지는 알 수 없는 정보다. 체지방 비율은 운동과 관련 있는데 글에서 알 수 있는 건 '운동 안 하면 체지방 비율 비정상(~운동 → 체지방 비율 비정상)'뿐이다. 장수 노인은 모두 운동을 했으므로 체지방 비율이 어떤지는 알 수 없다.
<오답 해설>
① X에 속한 모든 사람은 규칙적으로 운동을 했다.
장수 노인과 조기 사망자 모두 그렇다.
② X에 속한 장수 노인 중에 혈중 콜레스테롤 지수가 높은 사람은 없다.
장수 노인은 모두 짜거나 기름진 음식을 즐겨 먹지 않았다.
③ X에 속한 조기 사망자 중에 짜거나 기름진 음식을 즐겨 먹은 사람이 있었다.
위에서 결론 낸 내용이다.
⑤ X에 속한 조기 사망자라면 누구나 결혼생활이 행복하지 않았거나 β 호르몬이 평균치보다 적게 분비되지 않았다.
조기 사망자는 모두 체지방 비율이 정상이다. 베타 호르몬이 평균치보다 적게 분비되면 체지방 비율이 비정상이 되므로, 조기 사망자 모두 베타 호르몬이 평균치 이상 분비되었다.
한편 결혼 관련해서는 알 수 없다.
프리미엄 해설
자세한 사고 과정이 궁금하다면 프리미엄 해설을 참조하세요.
2020년 5급 PSAT 언어논리 15번 프리미엄 해설
이 문제 예엣날에 블로그 해설 쓸 때는 아무 생각 없이 풀기만 했는데 프리미엄 해설 쓰려고 다시 보니 연구 결과가 너모 신경쓰인다…. 생김새가 뚜렷해서 그냥 독해할 문제가 아니라는 것 정
contents.premium.naver.com
주관적 체감 난이도
★★★★☆
줄글로 된 논리 문제야 흔하지만 실험분석 성격을 가미하니 상당히 어려운 문제가 되었다. 정신 똑바로 차려야 한다. 오류 일으키기 십상이다.
[PSAT 언어논리] 논리·퀴즈 기출모음
PSAT 언어논리 논리·퀴즈 기출문제 모음 자료입니다. 인사혁신처가 2011년 이후 출제한 5급·7급·민경채 PSAT 언어논리 문항 중 논리퀴즈와 논리 지문 문제들이 모여 있습니다. 인쇄해 제본할 경우,
contents.premium.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