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5급 PSAT 언어논리 17번 해설 (나책형)
- 5급 PSAT 기출문제 해설/언어논리
- 2021. 10. 7.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0년 5급 PSAT 언어논리 나책형 17번 문제다.
문과한테 이런걸 던져주면 매우 좋아…할 리가 없지. 근데 문제가 쉬워서 좋았다. 글에 라돈 어쩌고 반감기가 어쩌고 정신이 아득해지는 말들이 많은데 사실 문제 풀 때 써먹는 건 몇 줄 안된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20년 5급 PSAT 언어논리 17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5번>
60 cm 떨어진 지점에서 측정된 A의 방사선과 B의 방사선은 모두 222Rn에서 나온 것이다.
글에서는 다 필요없고 마지막 문장만 보면 된다. 편의상 220과 222라고 부르자. 220은 발생원으로부터 50cm 이상 떨어지면 영향이 나타나지 않고, 222는 밀폐된 공간에서는 거의 균일하게 분포한다. 실험 환경이 '밀폐된 실험실'이니 222는 거리에 관계없이 균일하게 분포할 것이다.
실험 결과를 보면 석재A에서 나온 방사능은 거리가 멀어질수록 양이 줄었고, 석재B에서는 거리에 관계없이 균일한 방사선량이 검출됐다. 220과 222 이외의 물질에 의한 영향은 없었다고 하니, 거리에 관계없이 균일한 방사선량이 검출된 B에는 222만 들어 있을 것이다.
반대로 A에서는 가까울 때 B보다 많은 방사선량이 검출되다가 넘은 60cm 지점에서는 B와 같은 양이 나왔다. 발생원으로부터 50cm 이상 떨어졌으니 220은 검출될 수 없고, 이 지점에서 검출된 방사선은 모두 222이다. 즉, 석재 A에는 220과 222가 모두 포함돼 있다.
따라서 60cm 떨어진 지점에서 측정된 석재 A, B의 방사선은 모두 222Rn에서 나온 것이다.
<오답 해설>
① A는 220Rn을 포함하지 않는다.
A는 220Rn과 222Rn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② B는 222Rn과 220Rn을 모두 포함한다.
B에는 222Rn뿐이다. 만약 220Rn을 포함하고 있다면 0cm~20cm 구간에서 방사선량이 감소해야 하며, 또 이 두 지점의 방사선량이 60cm 지점보다 많아야 한다.
③ 0 cm 떨어진 지점에서 측정된 A의 방사선은 모두 222Rn에서 나온 것이다.
0cm 지점에서는 220Rn도 함께 측정된다.
④ 20 cm 떨어진 지점에서 측정된 방사선 중 222Rn에서 나온 방사선량은 B보다 A가 더 많다.
222Rn은 거리에 관계없이 균일하게 분포하며, 220Rn이 없는 60cm 지점에서 A의 +가 1개이므로 20cm 지점에서도 A의 222Rn 방사선량은 + 1개이다. 같은 지점에서 222Rn만 있는 B의 방사선량 역시 + 1개이므로, 주어진 표만으로는 B보다 A가 더 많다고 할 수 없다.
프리미엄 해설
자세한 사고 과정이 궁금하다면 프리미엄 해설을 참조하세요.
2020년 5급 PSAT 언어논리 17번 프리미엄 해설
제법 특이해 보이는 표가 하나 떡하니 놓여 있는데, 언어논리에서 이런 게 보이면 땡큐를 외쳐야 한다. 발문에서 "<실험>에 대한 분석"을 물었으니 우선 <실험> 박스로 가야 하는데, 박스 안에 줄
contents.premium.naver.com
주관적 체감 난이도
★☆☆☆☆
의외로(?) 쉬운 문제다.
[PSAT 언어논리] 논증·실험 기출모음
PSAT 언어논리 논증·실험 기출문제 모음 자료입니다. 인사혁신처가 2011년 이후 출제한 5급·7급·민경채 PSAT 언어논리 문항 중 논증 비교·분석, 강화·약화, 지지·반박, 실험 문제들이 모여 있습니
contents.premium.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