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8번 해설 (2020년 인사혁신처)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0년 인사혁신처 시행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8번 문제다.

    뭐랄까 어디서 많이 본 유형 같기도 하고, 이런 형태는 풀이가 익숙해서 온라인 모고 때도 금방 풀고 넘어갔던 문제다. 포인트를 못 잡으면 물론 오래 걸린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 8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2번>

    ㄱ, ㄷ

     

    ㄱ. 출발 후 6 km 지점을 먼저 통과한 선수부터 나열하면 A, C, D, B 순이다. (O)

    풀 때는 검증하지 않은 선지다. 직관적으로 어느 정도 때려맞힐 수도 있지만 반드시 그럴 거라는 보장도 없고, 정확한 계산이 필요해지면 골치아프기 때문.

     

    일단 A는 굳이 계산할 필요도 없다. 죄다 5분 25초 이내로 들어왔는데 그나마 유사한 기록을 낸 C는 6분 40초가 껴 있어서 기록이 확 올라간다.

     

    다음 C도 눈으로 계산할 수 있다. B, C, D를 비교해야 하는데, 내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기록을 훑어보고 임의로 5분 30초 기준을 세운다.
    2) B는 모든 구간에서 5분 30초를 넘겨 들어왔으며, 6분대가 3개 있으니 최소한 +90초는 먹고 들어간다.
    3) C는 6분 40초 구간을 제외하고 모두 5분 30초 이내에 들어왔으므로, +70초에서 깎여나가는 계산이다.
    4) D는 B와 마찬가지로 6분대가 3개 있어 최소한 +90초를 먹고 들어간다. 5분 27초 구간이 있긴 한데 C의 +70을 따라잡으려면 3초 줄인 걸론 택도 없다. 따라서 B, C, D 중 C가 가장 빨리 들어왔고 C 2위 확정.

    남은 B와 D는 앞서 보기 ㄷ 검증할 때 했던 것처럼 구간별 시간차를 더해 비교하면 된다. D가 B보다 빠르고, 최종적으로 A>C>D>B다.

     

    ㄴ. B의 10 km 완주기록은 60분 이상이다. (X)

    10km가 1km씩 나뉘어 있으니 구간이 총 10개다. 즉 구간별 평균 기록이 6분 이상이면 완주기록도 60분 이상이 된다. B의 구간별 기록에서 '분' 단위로만 한 번 보자. 6분이 3개, 5분이 7개다. 그런데 6분을 넘긴 구간도 그렇게 많이 넘긴 게 아니다. 대충 30초쯤 넘긴 듯하다. 이 정도 오버된 건 나머지 5분대 구간에서 충분히 커버할 수 있을 것이다. 평균 6분이 안될 테니 총 60분도 안된다.

     

    ㄷ. 3 ~ 4 km 구간에서 B는 C에게 추월당한다. (O)

    B와 C의 0~4km 구간별 기록을 일일이 비교해야 한다. 4km 통과 시점에서 누가 앞서는지만 확인하는 게 아니라, 3km 통과 시점에서 B가 C를 앞서고 있는지도 확인해야 한다. '3~4km 구간에서' 추월당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C를 기준으로 B와의 구간별 시간차를 기록하면 +56초(0~1km), -15초(1~2km), -32초(2~3km), -63초(3~4km)가 나온다. 3km 통과 시점에는 C 기준 +9초로 아직 B가 앞서고, 3~4km 구간을 통과하면서 C 기준 -54초로 B가 C에게 추월당한다.

     

    ㄹ. A가 10 km 지점을 통과한 순간, D는 7 ~ 8 km 구간을 달리고 있다. (X)

    A는 51분 52초에 10km 지점을 통과했다. D는 7~8km 구간 통과 후 10분 26초(8~10km 구간)를 더 달려 57분 23초에 10km 지점을 통과했다. 즉 D가 8km 지점을 통과한 게 47분 언저리이고, 틀린 보기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보기 ㄱ을 제외하면 다 쉬운 보기다. 설명은 복잡해 보이는데 암튼 쉬움. ㄱ을 빨리 스킵하느냐 마느냐가 관건일 듯.

    댓글

    밤도리 프리미엄콘텐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