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7급 PSAT 자료해석 22번~23번 해설 (나책형)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1년 7급 PSAT 자료해석 나책형 22번~23번 문제다.

    덩치 큰 혹은 양 많은 자료는 기출에도 많이 있으니 특별할 게 없고 자료 내용도 마찬가지다. 정말 술술 빠르게 (고민도 없이) 풀고 넘어갔다…가… ㅎ.

     

    2021년 7급 PSAT 풀이문제지 원본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21년 7급 PSAT 자료해석 22번~23번 해설·풀이과정

    <22번 정답: 2번>

    ㄴ, ㄷ

     

    ㄱ. ‘월평균 지상 10 m 기온’이 가장 높은 달과 ‘월평균 지표면 온도’가 가장 높은 달이 다른 도시는 A뿐이다. (X)

    월평균 지표면 온도가 가장 높은 달은 A~E 모두 8월이다. 월평균 지상 10m 기온이 가장 높은 달이 8월이 아닌 도시는 A, D 두 곳이다. 둘 다 7월이 가장 높다.

     

    ㄴ. 2월의 ‘월평균 지상 10 m 기온’은 영하이지만 ‘월평균 지표면 온도’가 영상인 도시는 C와 E이다. (O)

    선지 그대로 체크하면 된다. 맞다.

     

    ㄷ. 1월의 ‘월평균 지표면 온도’가 A ~ E 도시 중 가장 낮은 도시의 설계적설하중은 5개 도시 평균 설계적설하중보다 작다. (O)

    1월의 월평균 지표면 온도가 가장 낮은 도시는 D다. D의 설계적설하중은 0.8이다. 양쪽으로 편차 체크하면 된다. D보다 작은 A~C의 편차 합은 -0.7이고 D보다 큰 E의 편차는 +1.2다. 편차 합이 +이므로 5개 도시 평균이 0.8보다 크다. 옳은 선지.

     

    ㄹ. 설계기본풍속이 두 번째로 큰 도시는 8월의 ‘월평균 지상 10 m 기온’도 A ~ E 도시 중 두 번째로 높다. (X)

    설계기본풍속이 두 번째로 큰 도시는 E다. E의 8월 월평균 지상 10m 기온은 B, A에 이어 세 번째로 높다.

     

    <23번 정답: 5번>

    두 번째로 큰 도시 D, 가장 작은 도시 C

     

    단계 2에 해당하는 도시는 ADE, 단계 3에 해당하는 도시는 BE다. 해설이니까 표로 정리해드림.

      A B C D E
    원 값 0.5 0.5 0.7 0.8 2.0
    단계 1 0.75 0.75 1.05 1.2 3.0
    단계 2 1.05 미적용 미적용 1.68 4.2
    단계 3 미적용 0.6 미적용 미적용 3.36
    단계 4 미적용 1.0 미적용 미적용 미적용
    결과 1.05 1.0 1.05 1.68 3.36
    증가폭 0.55 0.50 0.35 0.88 1.36

    함정 포인트는 단계 4의 단서다. B를 마지막에 1.0으로 바꿔야 하는데, 이걸 안 하면 0.6으로 남아 있어서 4번을 고르게 된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나는 다 해놓고 증가폭이 아니라 결과값 순위 보고 답을 골랐다. 심지어 증가폭부터 밑줄 쳐놨는데 뭐한 거임?

     

    메가피셋 풀서비스 기준 정답률: 22번 66.1%, 23번 20.2%

    최고 선택률 오답 선지: 22번 3번 15.3%, 23번 4번 46.6%

    댓글

    밤도리 프리미엄콘텐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