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5급 PSAT 자료해석 26번 해설 (나책형)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18년 5급 PSAT 자료해석 나책형 26번 문제다.

    보고서 부합 여부를 묻는 문제인데 차트들이 다들 한 덩치 한다. 보고서 순서대로 읽기로 했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18년 5급 PSAT 자료해석 26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4번>

    ㄱ, ㄴ, ㄹ

     

    ㄱ. 2015년 신고자 유형별 노인학대 인정사례 건수 (O)

    보고서 두 번째 문단에 있는 내용이다. 보고서에서 신고자 유형별 학대 인정사례 건수를 몇 가지 언급하고 있으므로 이건 맞춰 보면 되고, 특정 신고자 유형이 비중을 얼마나 차지하는지는 간단히 계산해주면 된다. 사회복지전담 공무원 신고가 290으로 707의 40% 이상(약 280)을 차지하며, 관련 기관 종사자 신고가 비신고의무자 신고 유형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다. 1494는 3111의 48% 이상이 충분히 된다. 3111의 50%가 1555쯤 될 텐데, 여기서 다시 3111의 2%인 62를 빼면 1493으로 떨어진다. 학대행위자 본인 신고가 가장 적은 수를 차지하는 것도 맞다.

     

    ㄴ. 2014년과 2015년 노인보호전문기관에 신고된 노인학대 의심사례 신고 건수와 구성비 (O)

    보고서 첫 번째 문단에 있는 내용이다. 2015년의 원그래프는 학대 인정사례 건수 3818건을 확인한 뒤, 여기에 8087을 더해 11905가 나오는지까지 확인해준다. 학대 인정사례 건수의 전년대비 증가율 8%는 3532→3818을 보면 된다(35×8=280).

     

    ㄷ. 발생장소별 노인학대 인정사례 건수와 구성비 (X)

    보고서 세 번째 문단에 있는 내용이다. 학대 인정사례 중 병원에서의 학대 인정사례 비율이 매년 감소했다는데, 차트에서는 2012년 2.4%에서 2013년 3.1%로 병원에서의 학대 인정사례 비율이 증가한 해가 있다.

     

    ㄹ. 가구형태별 노인학대 인정사례 건수 (O)

    보고서 마지막 문단에 있는 내용이다. 매년 노인단독가구의 막대가 가장 긴지를 확인하면 된다. 노인단독가구 막대는 흰색이고, 4개년 모두 가장 길게 뻗어 있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정보량이 많다 보니 우왕좌왕할 수 있는데, 크게 어려운 판단을 요구하는 문제는 아니다. 역시 시간이 문제.

    댓글

    밤도리 프리미엄콘텐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