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 13번 해설 (가책형)
- 민경채 PSAT 기출문제 해설/자료해석
- 2021. 11. 15.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18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 가책형 13번 문제다.
날씨 예보 소재가 은근히 단골인 것 같다. 잊을 만하면 또 풀게 된다. 이 표는 행 구분 실수가 없도록 세심히 읽어야 할 듯.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18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 13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4번>
ㄴ, ㄷ
ㄱ. 도시 A에서는 예측 날씨가 ‘비’인 날 실제 날씨도 모두 ‘비’였다. (X)
'예측' 행에서 우산 씌워진 칸만 확인한다. 7월 8일에 비가 올 거라고 예측했으나 실제 날씨는 맑음이었다.
ㄴ. 도시 A ~ E 중 예측 날씨와 실제 날씨가 일치한 일수가 가장 많은 도시는 B이다. (O)
일치한 날이 아니라 일치하지 않은 날을 센다. B에서 날씨 예측이 실패한 날은 총 3일이다(7월 1일, 2일, 8일). 이제 남은 도시들도 B와 같은 방식으로 일치하지 않은 일수를 세되, 3일을 초과하는 즉시 제끼고 다른 도시로 넘어간다. 이 방식으로 A, C, D, E가 다 제껴진다(?).
ㄷ. 7월 1 ~ 10일 중 예측 날씨와 실제 날씨가 일치한 도시 수가 가장 적은 날짜는 7월 2일이다. (O)
7월 2일 열을 보자. 모든 도시에서 예측이 빗나갔다(행 구분 주의). 일치한 도시 수가 0이니 다른 도시는 볼 것도 없이 옳은 선지다. 일치한 도시 수가 음수가 될 수도 없고, 일치한 도시 수가 0인 다른 도시가 있으면 이의제기를 먹기 때문에(…) 여기서 끊어도 된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별을 더 주고 싶지만 선지가 평이하다 보니…. 출제자가 마음만 먹었으면 응시자를 더 괴롭힐 수 있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