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5급 PSAT 자료해석 29번 해설 (가책형)
- 5급 PSAT 기출문제 해설/자료해석
- 2021. 11. 22.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17년 5급 PSAT 자료해석 가책형 29번 문제다.
뇌정지 오기 쉬운 자료를 갖다 놨다. 계산보다는 해석 능력을 요한다. 경우에 따라서 접근조차 제대로 못하고 감에 의지에 풀 수도 있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17년 5급 PSAT 자료해석 29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4번>
ㄴ, ㄹ
㉠ 최고기술보유국 대비 우리나라 10대 전략기술 분야 기술수준의 평균은 75 이하이고, 기술격차의 평균은 4년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X)
평균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그림>을 보고 감으로 '아 75 넘는 애들 수두룩이니까 뭐 평균 75 넘겠지' 할 수도 있겠지만 정확한 근거를 찾자면 편차를 이용해야 한다. 75 왼쪽에 있는 건 6번과 10번뿐이다. 평균이 75라고 가정할 때 6번의 편차는 대충 -7.5, 10번의 편차는 -2.5 언저리다. 합해서 -10이다. 75보다 오른쪽에 있는 점들의 편차 합이 +10을 초과하면 평균도 75를 초과한다고 확정할 수 있다. +2.5 언저리에만 점이 7개가 찍혀 있으니 더 볼 것도 없다.
㉡ 최고기술보유국 대비 우리나라의기술수준은 전자·정보·통신과 기계·제조·공정 분야가 80 이상이고 항공·우주 분야는 70 미만이다. (O)
<그림>을 읽으면 된다. 전자정보통신은 1번, 기계제조공정은 4번이다. 둘 다 기술수준 80보다 오른쪽에 있다. 항공우주는 6번인데 저~기 70 왼쪽에 있다.
㉢ 우리나라의 대(?)중국 기술격차를 보면, 우리나라가 모든 10대 전략기술 분야에서 중국보다 앞서 있으며, 특히 환경·지구·해양 분야에서 2.9년 앞서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X)
항공우주 분야는 중국보다 4.5년 뒤쳐져 있다.
㉣ 일본의 기술 발전 정도는 모든 10대 전략기술 분야에서 미국에 뒤쳐져 있으나, 전자·정보·통신, 나노·소재, 건설·교통, 재난·재해·안전의 분야에서는 EU보다 앞서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O)
<표>에서 대일본 기술격차와 대미국 기술격차를 비교하면 된다. 둘 다 양의 값이므로, 숫자가 큰 쪽의 기술이 더 앞서 있는 것이다. 모든 전략기술 분야에서 일본의 숫자가 미국보다 작다. 한편 전자정보통신, 나노소재, 건설교통, 재난재해안전 분야에서는 일본이 EU보다 숫자가 크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근데 편차를 굳이 생각하지 않아도 저 <그림> 정도면 그냥 보고 75 넘겠네 하는 게 빠를 수도…. <표> 해석할 때는 <그림>의 주석2를 유심히 읽어야 한다.
해설강의
2017년 5급 PSAT 자료해석 후반부 해설강의
밤프콘 자료해석 Live 스터디그룹 2017년 5급 자료해석 가책형 21번~40번 Live 강의영상입니다.
contents.premium.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