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5급 PSAT 자료해석 32번 해설 (가책형)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17년 5급 PSAT 자료해석 가책형 32번 문제다.

    간단한 자료 두 개 던져줬다. 표의 숫자가 6자리다 보니 약~간 귀찮을 가능성이 엿보이지만 뭐 큰 문제는 아닐 것이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17년 5급 PSAT 자료해석 32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5번>

    국가공무원 중 여성 비율과 지방자치단체공무원 중 여성 비율의 차이는 매년 감소한다.

     

    2011년~2012년 구간에 곧장 차이가 증가한다. 2011년에 17%p 차이였다가 2012년에 17.4%p 차이가 되었다. 사실 정확한 차이를 구할 필요는 없고, 국가공무원 중 여성 비율의 증가분이 더 크다는 걸 보면 된다.

     

    <오답 해설>

     

    ① 매년 국가공무원 중 여성 수는 지방자치단체공무원 중 여성 수의 3배 이상이다.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국가공무원 수가 지방자치단체공무원 수의 2배를 꾸준히 넘는다. 여성 비율은 국가공무원 쪽이 지방자치단체 쪽의 1.5배를 꾸준히 넘…다가 2015년엔 살짝 밑으로 떨어지는데 대충 1.5배라고 치자. 어차피 전체 공무원 수 차가 2배보다 좀 더 커서 상관없다. 2배에 1.5배가 곱해지니 3배 이상이 될 것이다.

     

    ② 지방자치단체공무원 중 여성 수는 매년 증가하였다.

    지방자치단체공무원 수와 지방자치단체공무원 중 여성 비율 모두 매년 증가하고 있다. 여성 수도 당연히 매년 증가한다.

     

    ③ 매년 국가공무원 중 여성 수는 지방자치단체공무원 수보다 많다.

    매년 국가공무원×여성 비율이 지방자치단체공무원 수보다 많으냐는 선지인데, 어떻게 검증할지 모르겠다면 일단 넘겨도 무방하다. 나는 그냥 국가공무원 반으로 쪼개고 거기서 좀 더 빼보는 식으로 검증했다. 예를 들어 2011년에는 국가공무원 수의 절반인 31만 명에서, 3%에 해당하는 1.8만 명 정도를 더 빼본다. 그래도 지자체공무원보다는 많다. 역으로 지자체 공무원과 국가공무원 수가 몇 배 차이인지 구하고, 이를 국가공무원 중 여성 비율에 곱해 100을 넘는지를 보는 방법도 있다.

     

    ④ 국가공무원 중 남성 수는 2013년이 2012년보다 적다.

    두 해의 여성 비율이 같다. 남성 비율도 같다. 2013년의 국가공무원 수가 2012년보다 적으므로 남성 수도 더 적을 것이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기본기 체크 문항. 자릿수 6자리라고 쫄지 말자.

    해설강의

     

    2017년 5급 PSAT 자료해석 후반부 해설강의

    밤프콘 자료해석 Live 스터디그룹 2017년 5급 자료해석 가책형 21번~40번 Live 강의영상입니다.

    contents.premium.naver.com

    댓글

    밤도리 프리미엄콘텐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