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5급 PSAT 상황판단 2번 해설 (가책형)
- 5급 PSAT 기출문제 해설/상황판단
- 2021. 11. 23.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17년 5급 PSAT 상황판단 가책형 2번 문제다.
혹시 게임 '임진록' 아는 사람 있나…? 바다맵 만들어서 판옥선 러시로 재미 좀 봤었는데… 아니 이게 무슨 소리야. 지문이 넘 반가워서 그만.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17년 5급 PSAT 상황판단 2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2번>
판옥선의 구조는 적군의 승선전투전술 활용을 어렵게 하여 조선 수군이 전투를 수행하는 데 유리하였을 것이다.
문단3에 문장이 거의 그대로 있다. 판옥선 구조 설명(선체 길이와 높이)이 주르륵 나오고, 그 때문에 일본군이 장기인 승선전투전술을 활용하기 어려웠다고 한다. 일본이 적군인 건 설명 안 해도 되겠지?
<오답 해설>
① 판옥선은 갑판 구조가 단층인 군선으로, 선체의 높이가 20 ~ 30 m에 달하였다.
(문단1) 판옥선은 갑판을 2층 구조로 만든 배다.
③ 『선조실록』에 따르면 판옥선의 격군은 최소 125명 이상이었다.
(문단4) 선조실록의 '125명'은 격군 숫자가 아니라 사수와 격군을 합친 숫자다. 격군만 최소 125명 이상이라고 볼 수는 없다.
④ 판옥선은 임진왜란 때 일본의 수군을 격파하기 위해 처음 개발되었다.
(문단1) 판옥선은 1555년(명종 10년) 개발되었다. 임진왜란은 1592년 발발했다.
⑤ 판옥선은 임진왜란의 각 해전에서 주력 군선인 거북선으로 대체되었다.
(문단3) 판옥선도 임진왜란 해전에 참전했으며, 주요 해전에 동원된 군선 중 3척의 거북선을 제외하면 모두가 판옥선이었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지문이 짧진 않지만 워낙 친숙한 내용이기도 하고, 글도 어렵지 않게 쓰여서 금방 해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