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5급 PSAT 상황판단 38번 해설 (가책형)
- 5급 PSAT 기출문제 해설/상황판단
- 2021. 11. 25.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17년 5급 PSAT 상황판단 가책형 38번 문제다.
실전이었으면 그냥 버리고 안 풀었을 문제다. 기가 막히게 답이 3번이라 찍어서 맞췄을 가능성은 있다. ㅋㅋ. 접근은 제대로 했는데 중간에 뭐 이상한 걸 착각해서 한~참 헤맸다. 아낀 시간 다 때려박은 문제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17년 5급 PSAT 상황판단 38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3번>
4회
당연히 대진표 그려서 생각해야 한다. <대회 종료 후 대화>가 알려주는 정보가 매우 중요하다. 을을 제외하고는 모두 1패 이상을 했고, 무를 제외하고는 모두 1승 이상을 했다. 이거 놓치면 영영 못 푸니 주의하자.
승 | 무 | 패 | 점수 | |
갑 | ||||
을 | 0 | |||
병 | ||||
정 | ||||
무 | 0 |
을이 무패임에도 2위라는 데서부터 출발한다(동점이 없다는 것도 체크해두자). 갑은 최소한 1패를 했는데, 그럼에도 을보다 점수가 높다. 을의 점수로 가능한 조합은 다음과 같다.
4승 = 8점
3승 1무 = 7점
2승 2무 = 6점
1승 3무 = 5점
*무 조건 때문에 최소 1승임.
그런데 갑은 1패를 제외하고 최대 3경기 결과만으로 을의 점수를 뛰어넘어야 한다. 3경기에서 나올 수 있는 최대 승점은 3승=6점이다. 만약 2승 1무면 5점이 되기 때문에 어떤 경우에도 을의 점수를 뛰어넘을 수 없다.
따라서 갑은 3승 0무 1패, 을은 1승 3무 0패임이 확정된다.
승 | 무 | 패 | 점수 | |
갑 | 3 | 0 | 1 | 6 |
을 | 1 | 3 | 0 | 5 |
병 | (최소 1) | (최소 1) | ||
정 | (최소 1) | (최소 1) | ||
무 | 0 | (최소 1) |
이제 병~무의 전적을 알아내야 하는데, 을이 '3무'를 거뒀다는 게 포인트다. 갑~무는 다른 모든 선수들과 일대일로 '한 번씩' 게임을 했다. 갑은 무승부가 없으므로 을의 3무는 모두 병~무와의 경기에서 나온 것이다. 따라서 병~무는 각각 최소한 1무씩을 했다.
승 | 무 | 패 | 점수 | |
갑 | 3 | 0 | 1 | 6 |
을 | 1 | 3 | 0 | 5 |
병 | (최소 1) | (최소 1) | (최소 1) | |
정 | (최소 1) | (최소 1) | (최소 1) | |
무 | 0 | (최소 1) | (최소 1) |
경기수가 4경기씩이니 병과 정은 승무패 중 어디에 1을 더해줄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병은 5점보다 낮은 점수를 받았어야 한다. 그러면서 정보다는 높은 점수를 받아야 한다. 2승 1무면 5점으로 을과 동점이 되니 병의 승수는 무조건 1승이다. 또, 병이 1승 1무 2패일 경우 정이 이보다 못한 전적을 내는 게 불가능하다. 따라서 병은 1승 2무 1패, 정은 1승 1무 2패다.
승 | 무 | 패 | 점수 | |
갑 | 3 | 0 | 1 | 6 |
을 | 1 | 3 | 0 | 5 |
병 | 1 | 2 | 1 | 4 |
정 | 1 | 1 | 2 | 3 |
무 | 0 | (최소 1) | (최소 1) |
마지막으로, 리그에서 한 조의 전체 승수와 전체 패수는 항상 같아야 한다. 무를 제외하고 전체 승수가 6승, 전체 패수가 4승이다. 따라서 무의 전적에서 정확히 2패가 더해져야 한다. 무는 2무 2패다.
승 | 무 | 패 | 점수 | |
갑 | 3 | 0 | 1 | 6 |
을 | 1 | 3 | 0 | 5 |
병 | 1 | 2 | 1 | 4 |
정 | 1 | 1 | 2 | 3 |
무 | 0 | 2 | 2 | 2 |
한 조의 무승부 경기수는 각자의 무승부 수의 합을 2로 나눈 값과 같다(무승부 1경기는 전적상 2개의 무를 만들어낸다). 전체 무승부 수 합이 8이므로 무승부 경기수는 4경기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일대일로 한 번씩'과 을의 3무를 연계하는 부분이 상당히 어렵다. 가책형을 받아서 이 문제를 시험 최후반부에 봤다면 십중팔구 놓친다. 그럴 땐 버리는 게 우월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