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 25번 해설 (나책형)
- 민경채 PSAT 기출문제 해설/자료해석
- 2021. 11. 29.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17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 나책형 25번 문제다.
영역을 마무리하는 25번 문제답게 뭔가 아이디어가 필요해 보이는 자료를 들고 나왔다. 딱 봐도 '시급은 최대 60,000원'이라는 걸 잊으면 안 될 것처럼 생겼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17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 25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3번>
2016년과 2017년 시급 차이가 가장 큰 강사는 C이다.
C는 2016년에 수강생 만족도 4.8을 기록해 10% 인상 대상이다. 54,600원의 10%면 5,460원인데, 시급은 최대 60,000원이니 5,400원을 더해 딱 6만 원이 될 것이다. 나머지 강사들은 10% 인상 대상이 없어 C를 따라올 수 없고, A와 D 같은 경우 어차피 6만 원 상한에 걸려 5,400원이라는 증가폭을 낼 수 없기도 하다.
<오답 해설>
① 강사 E의 2016년 시급은 45,600원이다.
강사 E는 2015년 수강생 만족도 3.2를 받았으니 2016년 시급이 48,000원으로 동결된다.
② 2017년 시급은 강사 D가 강사 C보다 높다.
시급 상한선을 잊었다면 이거 고르고 틀린다. 강사 D가 5% 인상 대상이긴 하지만 상한선에 걸려 6만 원에서 멈춘다. C와 D의 2017년 시급은 같다.
④ 강사 C의 2015년 수강생 만족도 점수는 4.5점 이상이다.
C는 2015년 52,000원에서 2016년 54,600원이 되었다. 5%에 해당한다. 4.0점 이상 4.5점 미만을 받았을 것이다.
⑤ 2017년 강사 A와 강사 B의 시급 차이는 10,000원이다.
둘 다 5% 인상 대상이다. 현재 시급 차가 10,000원인데 둘 다 5%씩 증가하면 차이도 5% 증가해 10,500원이 될 것이다.
*57,750원 vs 47,250원
주관적 체감 난이도
★★☆☆☆
2번 선지 낚시가 일품이다. 시급은 최대 60,000원에 밑줄을 그어 놓고 틀리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막바지다 보니 집중력 떨어지기도 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