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 23번 해설 (5책형)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16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 5책형 23번 문제다.

    딱 봐도 교집합 물어볼 것 같다. <표 1>에서 단위 정도 체크해주면 되겠다.

     

    ▶ 2016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 풀이문제지 원본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16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 23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5번>

    ㄴ, ㄷ, ㄹ

     

    ㄱ. 관리기관이 자치단체이고 제방높이가 ‘10 미만’인 저수지 수는 1,600개소 이상이다. (X)

    <표 3>에서 제방높이가 10 미만인 저수지 수가 2,566개다. <표 1>에서 관리기관이 농어촌공사인 저수지 수를 2566에서 빼주면 된다. 대충 1,000이 빠지는 것이니 1600개소가 안된다.

     

    ㄴ. 저수용량이 ‘10만 미만’인 저수지 수는 전체 저수지 수의 80 % 이상이다. (O)

    <표 2>에서 저수용량 10만 미만인 저수지 수는 2,668개다. 전체가 3,226개인데, 둘의 차가 600이 안된다. 3226의 20%면 당연히 600을 넘어가니, 저수용량이 10만 미만인 저수지 수는 80% 이상이 된다.

     

    ㄷ. 관리기관이 농어촌공사인 저수지의 개소당 수혜면적은 관리기관이 자치단체인 저수지의 개소당 수혜면적의 5배 이상이다. (O)

    <표 1>에서 농어촌공사는 저수지 996개에 총 수혜면적 69,612, 자치단체는 저수지 2,230개에 총 수혜면적 29,371이다. 정직하게 나눠서 저수지는 대충 70, 자치단체는 14가 안되니까 5배 이상…이라고 풀어도 된다. 다르게 보면 자치단체의 저수지 수가 농어촌공사의 2.2배를 넘고, 총 수혜면적은 농어촌공사가 2.3배를 넘어간다(29371을 30000이라고 생각하자). 이 둘을 곱하면 5배가 넘어간다.

     

    ㄹ. 저수용량이 ‘50만 이상 100만 미만’인 저수지의 저수용량 합은 전체 저수지 총 저수용량의 5 % 이상이다. (O)

    저수용량 50만 이상 100만 미만인 저수지가 100개 있다. '5% 이상'을 줬으니 최소화해보자. 50만짜리만 100개 있으면 저수용량 합이 5천만이 된다. 전체 저수지 총 저수용량은 얼마인가? <표 1>의 707,612천m3이다. 단위 환산하면 7억이고, 7억의 5%는 3500만이다. 5% 이상이 된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좋은 문제다. ㄴ은 좀 단순하지만 ㄱ, ㄷ, ㄹ에서 요구하는 아이디어는 중요하다.

    댓글

    밤도리 프리미엄콘텐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