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5급 PSAT 자료해석 12번 해설 (가책형)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1년 5급 PSAT 자료해석 가책형 12번 문제다.

    자료가 너무 예뻐서 안 읽혔다(…). 않이 예전까지는 못생김잔치였는데 왜 갑자기 이쁘게 만들어서 주냐구. 물론 예쁜 걸 차치하고서도 보기 귀찮은 자료는 맞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21년 5급 PSAT 자료해석 12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3번>

    2010년 ‘농지’ 구획의 개수는 2010년 ‘산림’이 아닌 구획 중 2020년 ‘산림’인 구획의 개수와 같다.

     

    이 문제는 특별히 빨리 푸는 법이 있나 싶다.

     

    2010년 농지 구획 개수는 7개다. 2010년 산림이 아닌 구획 중 2020년 산림인 구획은 2개. 2010년 우측 하단의 나지 두 개가 2020년에 산림으로 바뀌었다.

     

    <오답 해설>

     

    ① 2010년 대비 2020년 토지이용유형별 토지면적 증감량은 가장 큰 유형이 두 번째로 큰 유형의 1.5배 이상이다.

    도시가 2010년 6개에서 2020년 12개로 가장 많은 증감량(6개)을 기록했다. 증감량 2위는 4개 증가한 나지이므로 1.5배 이상이 맞다.

     

    ② 2010년 ‘산림’ 구획 중 2020년 ‘산림’이 아닌 구획의 토지면적은 2010년 ‘농지’가 아닌 구획 중 2020년 ‘농지’인 구획의 토지면적보다 작다.

    2010년 산림 중 2020년 산림이 아니게 된 구획은 3개다(좌측 하단 산림→도시 1개, 중앙 산림→농지 2개). 2010년 농지가 아니었다가 2020년 농지가 된 구획은 중앙부터 하단까지 총 4개다.

     

    ④ 2010년 전체 ‘나지’ 구획 중 일부 구획은 2020년 ‘도시’, ‘농지’, ‘산림’ 구획이 되었다.

    2010년 나지였다가 2020년 도시, 농지, 산림이 된 구획이 있는지 살펴본다. 좌측에 도시 2칸 확인, 하단에 농지 확인, 우측 하단에 산림 확인. '수계'가 빠졌는데 상관없냐고? '일부 구획은'이라고 단서를 달아서 상관없다.

     

    ⑤ 2021년 A 구획과 B 구획이 각각 ‘도시’, ‘나지’이고 나머지 구획이 2020년의 토지이용 유형과 동일하다면, 2020년과 2021년의 ‘도시’ 구획의 토지면적은 동일하다.

    2020년 도시 구획은 총 12개다. 나머지 구획은 같고 A, B만 각각 도시, 나지로 바뀐다면 도시 하나 빠지고 하나 더하는 거라 도시 구획 토지면적에는 변화가 없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이게 파악만 하고 나면 참 할 게 없는 문제인데 그 파악하기까지가 오래 걸린다. 자료 칸도 큼직큼직해서 여러 차례 왔다갔다해야 하는데 눈알에 쥐 나겠다.

    댓글

    밤도리 프리미엄콘텐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