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5급 PSAT 자료해석 13번 해설 (가책형)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1년 5급 PSAT 자료해석 가책형 13번 문제다.

    흔한 표인데 백분율에 천분율까지 들어 있다. 숫자 단위가 작고 예뻐서(?) 빈칸을 채우려면 금방 채울 수 있겠지만, 왠지 채우기 귀찮아서 안 채우고 풀 수 있는 선지를 찾아갔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21년 5급 PSAT 자료해석 13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5번>

    전월 대비 11월 발병 두수가 A 지역은 100 %, B 지역은 400 % 증가하면, A, B 지역의 11월 발병률은 같다.

     

    발병률은 발병 두수를 사육 두수로 나눠 구한다. 곱하기 천은 무시하자. 그런데 주석 3을 보면 사육 두수는 2020년 6월 것으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발병 두수와 발병률만 가지고 비교가 가능하다. 천분율 기호를 써 줘야 하지만, 편의상 백분율이라고 간주하겠다(어차피 대소비교 상황에서는 의미가 없다).

     

    A 지역은 발병 두수 3000이 발병률 15%를 차지한다. 발병 두수가 100% 증가해 6000이 되면 발병률은 30%가 될 것이다.

     

    B 지역은 발병 두수 600이 발병률 6%를 차지한다. 발병 두수가 400% 증가해 3000이 되면 발병률은 30%가 될 것이다. 따라서 선지 상황에서 두 지역의 발병률은 같아진다.

     

    사육 두수가 고정돼 있으면 발병 두수가 발병률과 직접 연동되므로, 발병 두수의 증가율이 곧 발병률의 증가율이라고 보고 풀어도 무방하다.

     

    <오답 해설>

     

    *편의상 천분율은 모두 백분율로 바꿔 씀.

     

    ① 사육 두수는 B 지역이 A 지역보다 많다.

    사육 두수는 발병률을 이용해 구할 수 있다. A 지역의 10월 발병 두수 3000에 발병률 15%를 역산하면 20000이 나온다. B 지역의 10월 발병 두수 600에 발병률 6%를 역산하면 10000이다. 따라서 사육 두수는 A 지역이 더 많다.

    *사육 두수는 2020년 6월 두수로 고정돼 있음에 유의하자.

     

    ② 전체 폐사 두수는 A 지역이 B 지역의 3배 이상이다.

    A지역 전체 폐사 두수는 이미 400으로 나와 있다. B지역은 6, 8월 빈칸을 채워야 한다. 6월은 발병 두수 600의 5%=30, 8월은 발병 두수 2400의 2.5%=60이다. 6~10월을 모두 더하면 200. A 지역이 B 지역의 정확히 2배다.

     

    ③ 전체 폐사율은 B 지역이 A 지역보다 높다.

    B 지역 폐사 두수는 앞서 구해놓은 200을 가져오자. 200/5800=1/29다. A 지역은 폐사 두수와 폐사율을 이용해 6, 7월 발병 두수를 구해줘야 한다. 6월은 20이 10%이므로 200, 7월은 20이 2.5%이므로 800이다. A 지역의 전체 발병 두수는 8000이고, 폐사율은 400/8000=1/20이다. A 지역의 전체 폐사율이 더 높다.

     

    ④ B 지역의 폐사 두수가 가장 적은 월에 A 지역의 발병 두수는 전월 대비 40 % 증가했다.

    B 지역 폐사 두수가 가장 적은 월은 9월이다. 9월 A 지역 발병 두수는 2400으로, 전월 1600 대비 800 증가했다. 증가율 50%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천분율인 건 별 의미가 없고, 빈칸을 채워가며 풀 것이냐 쉬운 선지를 찾아갈 것이냐의 차이 같다. 원래 1번부터 정직하게 쭉 풀어가는데, 이 문제는 너무 귀찮아 보여서(…) 뒤로 돌아갔더니 빨라지더라.

    댓글

    밤도리 프리미엄콘텐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