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5급 PSAT 언어논리 24번 해설 (나책형)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2년 5급 PSAT 언어논리 나책형 24번 문제다.

    요 근래 가짜뉴스 관련 책을 즐겨 읽었더니 이런 지문을 던져주네.

     

    ▶ 2022년 5급 PSAT 언어논리 실전 풀이문제지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22년 5급 PSAT 언어논리 24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1번>

    가짜 뉴스로 인해 인지부조화가 발생한 사람이 그 뉴스에 대한 팩트체크 결과를 판단하려 할 경우는 팩트체크에서 활용한 정보 출처의 신뢰도에 주로 관심을 둔다.

     

    자신의 신념과 부합하지 않는 가짜 뉴스는 인지부조화를 발생시킨다. 즉 가짜 뉴스로 인해 인지부조화가 발생했다면 그 가짜 뉴스는 그 사람의 신념과 부합하지 않는다. 자신의 신념에 부합하지 않는 가짜 뉴스의 팩트체크 결과를 접하는 경우 팩트체크에서 활용한 정보의 품질보다는 정보 출처의 신뢰도가 팩트체크 효과에 더 영향을 미친다.

     

    <오답 해설>

     

    ② 사람들은 자신의 신념에 부합하지 않는 가짜 뉴스가 가짜라는 팩트체크 결과를 접하게 되면 주로 정보의 품질에 의존하여 인지부조화를 해소하려 한다.

    자신의 신념에 부합하지 않는 가짜 뉴스가 가짜라는 팩트체크 결과를 접하면 인지부조화가 그 자체로 해소되며, 팩트체크의 효과에는 정보 출처의 신뢰도가 더 큰 영향을 미친다.

     

    ③ 가짜 뉴스가 자신의 신념에 부합하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팩트체크에서 활용한 정보의 출처를 더 중시한다.

    정보의 출처를 더 중시하는 쪽은 가짜 뉴스가 자신의 신념에 부합하지 않는 사람이다.

     

    ④ 가짜 뉴스로 인해 인지부조화가 발생한 경우 그 뉴스에 대한 팩트체크의 결과에 의해서도 인지부조화가 발생한다.

    가짜 뉴스의 팩트체크 결과에 의해서 인지부조화가 발생하는 건 가짜 뉴스가 자신의 신념에 부합할 때이다. 그런데 인지부조화를 발생시키는 가짜 뉴스는 자신의 신념과 부합하지 않는 가짜 뉴스이다.

     

    ⑤ 정보 출처의 신뢰도보다 정보의 품질이 팩트체크의 효과에 더 영향을 미친다.

    가짜 뉴스가 자신의 신념과 부합하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따라 다르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가끔 이렇게 날먹 문제가 한둘씩 나와 줘야 숨통이 트인다.

     

    정답률: 61% (메가피셋 합격예측 풀서비스 기준)

    댓글

    밤도리 프리미엄콘텐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