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5급 PSAT 상황판단 4번 해설 (가책형)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1년 5급 PSAT 상황판단 가책형 4번 문제다.

    이미 이거 낚여서 틀렸다는 잇님이 계시구? 나는 그렇게 어렵다는 느낌은 못 받았는데 첫 줄을 무심코 지나쳤거나 잘못 읽은 경우가 좀 있었나 보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21년 5급 PSAT 상황판단 4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1번>

    2019년 10월 A협회 정회원 자격을 얻은 甲은 ‘2020년 협회장’ 선출을 위한 ‘선거’에 참여할 수 있었다.

     

    첫 줄에서 A협회는 '다음해 협회장'을 매년 12월 열리는 정기총회에서 선출한다고 했다. 따라서 2020년 협회장은 2019년 12월에 선출한다.

     

    문단3에 선거 참여 자격이 나와 있다. 선거일을 기준으로 정회원 자격을 얻은 후 만 1년을 경과한 정회원이다. 갑은 2019년 10월에 정회원 자격을 얻었으니 아직 만 1년이 되지 않았다.

     

    <오답 해설>

     

    ② 2018년 10월 A협회 정회원 자격을 얻은 乙은 2019년 연회비 납부 여부와 관계없이 ‘2019년 협회장’ 선출을 위한 ‘찬반투표’에 참여할 수 있었다.

    찬반투표 참여 자격은 투표일 현재까지 A협회의 정회원인 사람인데, 정회원 자격은 연회비 납부일부터 부여된다. 연회비는 정회원 자격 획득 다음해부터는 매해 1월 30일까지 납부해야 한다. 2019년 협회장 선출은 2018년 12월에 하므로, 2018년 10월에 정회원 자격을 얻었다면 당연히 2019년 연회비 납부 여부는 관계가 없다.

     

    ③ 2017년 10월 A협회 정회원 자격을 얻은 丙이 연회비 미납부로 자격이 유보되었다가 2019년에 정회원 자격을 회복하였더라도 ‘2020년 협회장’ 선출을 위한 ‘선거’에 참여할 수 없었다.

    연회비 미납부로 정회원 자격이 유보된 사람은 정회원 자격 회복 후 만 1년이 경과하면 선거에 참여할 수 있다. 2020년 협회장 선출은 2019년 12월에 하므로, 2019년에 정회원 자격을 회복했다면 2019년 12월까지 만 1년이 지날 수 없다. 따라서 선거 참여도 불가능하다.

     

    ④ 2017년 10월 A협회 준회원 활동을 시작한 丁이 최소 요구 연한 경과 직후에 정회원 자격을 획득하였다면 ‘2019년 협회장’ 선출을 위한 ‘찬반투표’에 참여할 수 있었다.

    정회원이 되려면 준회원으로 만 1년 이상을 활동해야 한다. 따라서 2018년 10월부터 정회원 가입이 가능하다. 2019년 협회장 선출은 2018년 12월에 하므로, 그때 바로 정회원 자격을 획득했다면 찬반투표 참여가 가능하다.

     

    ⑤ 2016년 10월 처음으로 A협회 정회원 자격을 얻은 戊가 2017년부터 연회비를 계속 납부하지 않았다면 협회장 선출을 위한 ‘선거’에 한 번도 참여할 수 없었다.

    선거는 정회원 자격을 얻고 만 1년을 경과해야 참여할 수 있다. 2016년 10월에 정회원이 됐다면 2017년 10월 이후의 선거에만 참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정회원이 된 다음해부터는 매해 1월 30일까지 연회비를 납부해야 하므로, 2017년부터 연회비를 내지 않았다면 당장 2017년 1월 31일부터 정회원 자격이 유보된다. 따라서 협회장 선출 선거에는 한 번도 참여할 수 없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1번에서 답이 쉽게 나와서 그냥 넘어갔는데, 사실 낚이기 무진장 쉬운 함정이다(실제로도 많이 낚였고, 그걸 감안해 난이도 표기를 조정).

    댓글

    밤도리 프리미엄콘텐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