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5급 PSAT 자료해석 37번~38번 해설 (A책형)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14년 5급 PSAT 자료해석 A책형 37번~38번 문제다.

    단어가 워낙 많고 표도 복잡해 ‘보이는’ 구조라 우물쭈물대기 십상이다. 아예 시간 좀 쓴다고 생각하고 접근하거나, 38번만 먼저 풀어놓는 것도 방법.

     

    ▶ 2014년 5급 PSAT 자료해석 풀이문제지 원본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14년 5급 PSAT 자료해석 37번~38번 해설·풀이과정

     

    <37번 정답: 1번>

    ㄱ, ㄷ

     

    ㄱ. 2010년 보건업 취업자 중 상용근로자의 비율은 2010년 보건복지산업 취업자 중 상용근로자의 비율보다 높다. (O)

    <표 2>에서 확인한다. 2010년 보건업 취업자 중 상용근로자 비율은 632/759, 보건복지산업 취업자 중 상용근로자 비율은 1393/2127이다. 딱 봐도 전자가 더 높다.

     

    ㄴ. 보건복지산업의 상용근로자 수 대비 임시 및 일용근로자 수의 비율은 2008~2010년 동안 매년 상승하였다. (X)

    <표 3>에서 확인한다. 상용근로자 수와 임시 및 일용근로자 수의 증가율을 비교하면 된다. 09년→10년 구간에 상용근로자는 10% 이상(160쯤) 증가했으나 임시 및 일용근로자는 10% 미만(15) 증가했다. 이때는 비율이 떨어졌다.

     

    ㄷ. 2009년 대비 2010년 취업자 수의 증가율은 전체 산업이 보건복지산업보다 낮다. (O)

    <표 1>에서 확인한다.보건복지산업 취업자 수의 증가율부터 보자. 2009년 약 2천 명에서 150명쯤 증가했다. 증가율을 7.5%로 잡자. 전체 산업은 2009년 약 2.4만 명에서 1,100명쯤 증가했다. 이쪽 증가율은 7.5%에 한참 못 미친다. 5%도 안된다.

     

    ㄹ.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 중 상용근로자의 비율이 2009년과 2010년에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2009년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상용근로자는 100만명 이상이다. (X)

    <표 2>에서 2010년의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가 총 128.6만 명, 그중 상용근로자가 104.6만 명이다. 대충 80%쯤 되는 비율이다. 이게 2009년에도 적용된다면? <표 1>에서 2009년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가 총 115.3만 명이고, 여기에 80%를 곱한다면 100만 명 밑으로 떨어진다.

     

    <38번 정답: 1번>

    ㄱ, ㄹ

     

    ㄱ. 2010년 보건복지산업 남성 취업자 수 (O)

    보고서 중간쯤 2010년 보건복지산업의 여성·남성 취업자수를 서술하기 위해 필요하다.

     

    ㄴ. 2009년 기타 보건복지산업 종사형태별 취업자 수 (X)

    보고서에서 언급되지 않은 내용이다.

     

    ㄷ. 2009년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 수 (X)

    <표 1>에서 이미 알 수 있는 내용이다.

     

    ㄹ. 2009~2010년 보건복지산업 세부 업종별 취업자 수 (O)

    보고서 중간쯤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세부 업종별 취업자 수의 2009년-2010년간 비교 내용을 서술하기 위해 필요하다.

     

    ㅁ. 2010년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종사형태별 취업자 수 (X)

    보고서에서 언급되지 않은 내용이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처리할 정보의 위치 찾는 게 일이다. 중간에 실수할 확률이 높을 듯.

    해설강의

     

    2014년 5급 PSAT 자료해석 후반부 해설강의

    밤프콘 자료해석 Live 스터디그룹 2014년 5급 자료해석 A책형 21번~40번 Live 강의영상입니다.

    contents.premium.naver.com

    댓글

    밤도리 프리미엄콘텐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