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7급·민경채 PSAT 언어논리 20번 해설 (가책형)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22년 7급·민경채 PSAT 언어논리 가책형 20번 문제다.

    안 나오면 섭한 생물 지문. 이거 분명 중학교(아닌가? 초등학교인가?) 때 봤던 단어들인데… 하면서 편안하게 읽었다.

     

    ▶ 2022년 7급 PSAT 실전 풀이문제지 원본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22년 7급·민경채 PSAT 언어논리 20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3번>

    ㄱ, ㄷ

     

    ㄱ. 한 식물의 동일한 공변세포 안에 있는 칼륨이온의 양은, 햇빛이 있는 낮에 햇빛의 청색광만 차단하는 필름으로 식물을 덮은 경우가 덮지 않은 경우보다 적다. (O)

    (문단2) 햇빛이 있는 낮에 햇빛 속 청색광이 공변세포의 양성자 펌프를 작동시키면 공변세포 밖의 칼륨이온이 안으로 들어온다. 청색광 차단 필름을 덮으면 이 경로가 막히므로, 덮지 않은 경우보다 공편세포 안 칼륨이온의 양이 적을 것이다.

     

    ㄴ. 수분스트레스를 받은 식물에 양성자 펌프의 작동을 못하게 하면 햇빛이 있는 낮에 기공이 열린다. (X)

    (문단2, 3) 수분스트레스를 받으면 햇빛이 있더라도 기공이 열리지 않고, 양성자 펌프가 작동하지 않아도 기공이 닫히게 된다(정확히는 작동하면 열리고, 작동하지 않으면 닫힌다). 기공 닫는 요인끼리 붙여놨으니 햇빛이 있는 낮에 기공이 열린다는 결론을 내기는 어렵다.

     

    ㄷ. 호르몬 A를 분비하는 식물이 햇빛이 있는 낮에 보이는 기공 개폐 상태와 병원균 에 감염된 식물이 햇빛이 없는 밤에 보이는 기공 개폐 상태는 다르다. (O)

    (문단3, 4) 식물이 호르몬 A를 분비하면 햇빛이 있더라도 기공이 열리지 않게 된다. 반면 병원균 α에 감염되면 독소 B가 만들어지고, 독소 B는 기공이 닫혀 있어야 하는 때에도 열리게 만든다. 개폐 상태가 서로 다르다.

    프리미엄 해설

    자세한 사고 과정이 궁금하다면 프리미엄 해설을 참조하세요.

     

    2022년 7급 PSAT 언어논리 20번 프리미엄 해설

    레이아웃만 보면 첫인상으로 알 수 있는 게 별로 없어 보이지만 그렇지는 않다. 단어 몇 개만 시선에 스쳐도 어떤 소재인지는 알 수 있으며 그 소재가 주로 쓰이는 유형도 예측할 수 있다. 읽어

    contents.premium.naver.com

    주관적 체감 난이도

    ★★☆☆☆

    특별히 꼬인 게 없는 것 같다.

     

    메가피셋 풀서비스 기준 정답률: 80.7%

    최고 선택률 오답 선지: 1번 11.8%

     

    [PSAT 언어논리] 논리·퀴즈 기출모음

    PSAT 언어논리 논리·퀴즈 기출문제 모음 자료입니다. 인사혁신처가 2011년 이후 출제한 5급·7급·민경채 PSAT 언어논리 문항 중 논리퀴즈와 논리 지문 문제들이 모여 있습니다. 인쇄해 제본할 경우,

    contents.premium.naver.com

    댓글

    밤도리 프리미엄콘텐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