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7급·민경채 PSAT 자료해석 14번 해설 (인책형)
- 7급 PSAT 기출문제 해설/자료해석
- 2024. 11. 3.
문제지
2023년 7급·민경채 PSAT 자료해석 인책형 14번 문제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23년 7급·민경채 PSAT 자료해석 14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3번>
ㄱ, ㄴ
ㄱ. 2019 ~ 2022년 발생면적이 매년 감소한 병해충은 ‘솔껍질깍지벌레’뿐이다. (O)
흰불나방은 2019→2020 구간에서 증가했고, 솔잎혹파리는 빈칸 빼고 나머지를 먼저 보면 2020→2021 구간에서 증가했다. 솔껍질깍지벌레는 해당 구간 모두 감소한 게 맞다. 참나무시들음병은 빈칸 직전까지 전부 감소했으므로 빈칸을 따져보아야 한다. 아래에 '전체'가 있으므로 세로로 맞춰 보면,
빈칸을 뺀 셋의 합이 326+208+35=569이므로 빈칸에는 15가 들어간다. 2021년이 12이므로 이 구간에서 증가다. 솔껍질깍지벌레 빼고 전부 증가한 구간이 있으니 ㄱ은 옳다.
ㄴ. 전체 병해충 발생면적이 전년 대비 증가한 해는 2018년뿐이다. (O)
빈칸을 뺀 나머지 구간을 먼저 보면 증가한 구간이 없다. 2018년이 2017년보다 크면 옳은 선지가 된다(2017년보다 크면 2019년으로 갈 때는 당연히 감소이므로 이쪽은 더 신경쓸 게 없다). 세로로 더해서 77을 넘어갈지 어림해 보면, 위의 둘을 더해 70이 되고 그다음에 77, 마지막을 더하면 78까지 올라간다. ㄴ도 옳다.
ㄷ. 2019년 ‘솔잎혹파리’ 발생면적은 2022년 ‘참나무시들음병’ 발생면적의 30배 이상이다. (X)
2022년 참나무시들음병의 값은 15로 이미 구해두었으니, 2019년 솔잎혹파리 빈칸이 그것의 30배인 450 이상이냐고 묻는 선지다. 그런데 2019년의 전체 값은 69이고 맨 위의 흰불나방만 해도 벌써 29라서 남는 게 40뿐이다. 45가 들어갈 자리는 없다.
ㄹ. 2022년 병해충 발생면적의 전년 대비 증가율은 ‘참나무시들음병’이 ‘흰불나방’보다 낮다. (X)
참나무시들음병은 12에서 15로 커져서 증가율이 20%는 넘을 텐데, 흰불나방은 285에서 326으로 40 정도밖에 커지지 않아 증가율 20%가 안된다.
프리미엄 해설
자세한 사고 과정이 궁금하다면 프리미엄 해설을 참조하세요.
2023년 7급 PSAT 자료해석 14번 프리미엄 해설
자릿수가 제법 빽빽해 보이는 표에 빈칸들을 빵빵 뚫어두었으니 인상이 그리 좋지 않다. 실제로 풀기 시작해서도 빈칸 때문에 어렵게 느낀 수험생들이 꽤 될 것 같은데… 냉정히 말하면 빈칸이
contents.premium.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