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7급·민경채 PSAT 자료해석 15번 해설 (인책형)
- 7급 PSAT 기출문제 해설/자료해석
- 2024. 11. 3.
문제지
2023년 7급·민경채 PSAT 자료해석 인책형 15번 문제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23년 7급·민경채 PSAT 자료해석 15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5번>
2022년 A ~ H학생의 체질량지수 중 가장 큰 값은 가장 작은 값의 2배 이상이다.
체질량지수는 체중이 커지고 신장이 작아질수록 커지므로, 산포도상 좌상향할수록 체질량지수가 크다. 2022년에 가장 좌상향한 점은 G이고, G의 체질량지수는 107에 3.3이 몇 번 들어갈지를 어림하면 33쯤이다. 반대로 가장 우하향한 점은 C이고 체질량지수는 51에 2.9가 몇 번 들어갈지 어림하면… 33의 절반만 초과해도 5번이 틀리게 되는데 17번은 들어갈 것이다.
이 둘의 비교는 51/2.9를 102/5.8로 변환해서 할 수도 있다.
<오답 해설>
① ‘저체중’으로 분류된 학생의 수는 2022년이 2017년보다 많다.
저체중 기준이 체질량지수 20 미만이므로, 산포도에 체질량지수 20인 선을 가상으로 혹은 실제로 그어놓고 판단한다. (2.00, 40)부터 (4.00, 80)까지 그어두면 충분하다. 그 밑에 있는 점은 2017년이 1개, 2022년이 2개다.
② 2022년 A~H학생 체중의 평균은 2017년 대비 10% 이상 증가하였다.
세로축 체중의 간격이 10씩인데 2017년의 모든 점이 100 밑에 있으므로, 한 칸만 올라가도 증가율 10%를 만족한다. 대부분의 점이 한 칸을 훌쩍 넘게 커져 있으므로, 그것들을 모두 합친 평균의 증가율도 10%를 넘을 것이다.
③ 2017년과 2022년에 모두 ‘정상’으로 분류된 학생은 2명이다.
정상 기준이 20 이상 25 미만이므로, 20 선은 ①번에서 그어둔 걸 쓰면 되고 25 선은 새로 그린다. 그 사이에 2017년과 2022년이 모두 들어가 있는 건 A와 D뿐이다.
④ 2017년과 2022년 신장의 차이가 가장 큰 학생은 A이다.
2017년 대비 2022년 신장의 비율이 X라면 신장 제곱의 비율은 X2가 된다. 이 성질을 이용하면 신장의 제곱들을 신장으로 돌려놓지 않고도 어림할 수 있다. A~H의 신장 제곱들끼리 차이가 크지 않으므로, 제곱근으로 돌려놓지 않아도 오차가 크지 않을 것이다. A의 신장2 증가율은 20%쯤 되고, 다른 학생들은 모두 이에 못 미친다.
※ 그러나 이 선지는 이런 풀이를 바로 떠올릴 정도가 못 된다면, 웬만하면 스킵하는 게 낫다.
프리미엄 해설
자세한 사고 과정이 궁금하다면 프리미엄 해설을 참조하세요.
2023년 7급 PSAT 자료해석 15번 프리미엄 해설
앞서 본 산포도 문제보다 좀 더 정보량도 많고 복잡해 보인다. 번호 위치도 그렇고 어려운 문제 포지션 같다는 느낌을 받았다면, 그 느낌은 옳다. 하지만 도망가지는 말자. 선지가 문장 형태이므
contents.premium.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