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7급·민경채 PSAT 자료해석 16번 해설 (인책형)
- 7급 PSAT 기출문제 해설/자료해석
- 2024. 11. 6.
문제지
2023년 7급·민경채 PSAT 자료해석 인책형 16번 문제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23년 7급·민경채 PSAT 자료해석 16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4번>
ㄱ, ㄴ, ㄹ
ㄱ. 스마트농업의 연구과제당 정부연구비가 가장 많은 해는 2016년이다. (O)
2016년의 연구과제는 214이고 정부연구비는 34,463이다. 21과 34로 읽으면 1.5배 좀 넘는 비율이다. 나머지 해들도 같은 기준으로 잘라 읽어 보면 1.5를 넘는 비율이 하나도 없다.
ㄴ. 전체 정부연구비가 가장 많은 스마트농업 분야는 ‘자동화설비기기’이다. (O)
자동화설비기기의 전체 칸은 비어 있다. 그냥 더해서 전체를 구하자니 이것만 빈칸인 것도 아니고 항목도 7개나 되어 귀찮다. 위아래로 1대1 비교를 하기로 한다. 2016년부터 2018년까지는 자동화설비기기가 다른 두 항목보다 압도적으로 크다. 2019년부터 2022년까지는 데이터기반구축보다는 크고, 밑의 융합연구에게 뒤처진다. 여기까지 보면 우선 데이터기반구축보다 큰 건 확실하고, 앞의 3년 동안 앞질러 놓은 걸 뒤의 4년 동안 까먹었는지 여부가 문제다. 2016~2018년까지 총 40 넘게 앞섰는데, 2019년~2022년까지 뒤처진 값이 총 40이 안된다.
ㄷ. 스마트농업 정부연구비의 전년 대비 증가율이 가장 높은 해는 2022년이다. (X)
2022년 정부연구비는 전년 72에서 18 커진 90이다. 증가율이 정확히 1/4(25%)쯤인데, 2018→2019 구간이 46→63으로 17 커졌다. 증가폭이 비슷한데 초기값이 72에 비해 훨~씬 작으므로 이쪽 증가율이 당연히 더 크다.
ㄹ. 2019년 대비 2022년 정부연구비 증가율이 가장 높은 스마트농업 분야는 ‘데이터기반구축’이다. (O)
데이터기반구축은 해당 구간에 10→18로 딱 1.8배쯤이 되었다. 밑의 두 항목들은 대충 관찰해 봐도 1.8배까진 절대 못 간다.
프리미엄 해설
자세한 사고 과정이 궁금하다면 프리미엄 해설을 참조하세요.
2023년 7급 PSAT 자료해석 16번 프리미엄 해설
늘상 나올 법한 외형의 문제다. 특이할 거 없으니 곧장 풀러 가자. 문장 형태의 <보기> 박스가 있으므로 곧장 선지를 보러 간다. ㄱ. 스마트농업의 연구과제당 정부연구비가 가장 많은 해는 2016년
contents.premium.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