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 8번 해설 (나책형)

    문제지 필기 및 특이사항

    2019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 나책형 8번 문제다.

    그림과 덩치 큰 주석이 주어져서 조금 당황할 수 있지만 조금만 집중해서 보면 풀리는 자료다.

    본 해설은 타 해설을 참고하거나 검수를 받지 않고 작성되었습니다.

    2019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 8번 해설·풀이과정

    <정답: 1번>

    ㄱ, ㄴ

     

    빈칸 추론하는 방법부터. <그림>은 각 방송사의 '주시청 시간대 시청자평가지수'를 나타내고 있는데, 시청자평가지수는 각시간대의 만족도지수와 질평가지수의 평균이다. 따라서 만족도지수 또는 질평가지수가 시청자평가지수보다 크다면 나머지 한 지수는 시청자평가지수보다 작다. 반대도 마찬가지다. 예컨대 A방송사의 주시청시간대 질평가지수는 <그림>의 시청자평가지수 7.23보다 작다. 이 경우 A방송사의 주시청시간대 만족도지수는 시청자평가지수 7.23보다 큰 것이다.

     

    ㄱ. 각 지상파 방송사는 전체 시간대와 주시청 시간대 모두 만족도지수가 질평가지수보다 높다. (O)

    빈칸은 위에 따라 비교하면 된다. A 빈칸은 위에서 설명했고, B는 주시청 시간대 만족도지수가 시청자평가지수보다 크니 질평가지수도 만족도지수보다 작을 것이다. D는 주시청 시간대 질평가지수가 시청자평가지수보다 작으니 만족도지수가 더 클 것이다. 전체 시간대 쪽은 다 나와 있으니 보면 된다.

     

    ㄴ. 각 종합편성 방송사의 질평가지수는 주시청 시간대가 전체 시간대보다 높다. (O)

    G의 빈칸을 채우자. 만족도지수 7.20의 편차를 이용한다. 평균(시청자평가지수)이 7.13이니 편차는 +0.07. 이걸 평균에서 빼주면 질평가지수 7.06이 나온다. 나머지는 다 나와 있고, 모두 주시청 시간대 질평가지수가 전체 시간대보다 높다.

     

    ㄷ. 각 지상파 방송사의 시청자평가지수는 전체 시간대가 주시청 시간대보다 높다. (X)

    D방송사는 주시청 시간대 쪽이 더 크다.

     

    ㄹ. 만족도지수는 주시청 시간대가 전체 시간대보다 높으면서 시청자평가지수는 주시청 시간대가 전체 시간대보다 낮은 방송사는 2개이다. (X)

    B 방송사만 이에 해당한다.

     

    주관적 체감 난이도

    ★★☆☆☆

    평균 응용계산 능력이 부족하다면 빈칸 때문에 시간이 좀 걸릴 것이다.

    댓글

    밤도리 프리미엄콘텐츠 배너